19일 기획재정부는 '제2의 중동붐을 활용하기 위한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 프로젝트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MENA 지역 개발사업 등에 대한) 입찰기업의 금융조달 능력이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의 관건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발주자의 요구에 따라 프로젝트 입찰시부터 입찰 참여자가 재원조달 방안을 함께 제출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재정부는 이 같은 시장변화의 원인으로 ▦국가 재정위기를 맞은 유럽계 자금의 중동 개발시장 이탈 ▦국제적 은행 자산건전성 기준 강화(바젤Ⅲ협약)에 따른 은행들의 대형 장기 투자 프로젝트 참여난 등을 꼽았다. 쉽게 말해 중동 개발사업자가 직접 개발자금을 투자 받거나 빌리기 어려워진 만큼 자금조달 능력을 가진 건설사 등이 사업을 수주하기 유리하게 됐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재정부는 주요 중동의 개발특수 사안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의료투자사업(100억달러 이상)과 고속철도사업(79억달러 규모), 콰라이야 복합가스화력발전소 사업, 주택 50만가구 건설 계획 등을 꼽았다. 이어 쿠웨이트 국제공항 제2터미널 사업(25억달러), 아랍에미리트 국가철도 1단계 사업(110억달러)ㆍ태양광 사업, 카타르 통합철도 프로젝트(350억달러 규모), 모로코 태양광ㆍ풍력 사업, 이라크ㆍ리비아 주택복구 사업 등도 중동 특수사업으로 소개됐다. .
재정부는 이에 따른 대응 방향으로 ▦의료 분야 등 새로운 수요에 대한 적극 대응 ▦중동 금융기관과의 금융협력 강화 ▦고부가가치 프로젝트에 대한 수주 지속 추진 등을 제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