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이 재가동되지 않고 수요관리가 이뤄지지 않으면 산술적으로 1월 예비력은 -73만kW로 떨어진다. 결국 영광 5ㆍ6호기의 재가동이 '블랙아웃'을 막아낼 수 있는 가장 필수 대책인 셈이다.
하지만 위조부품 파문이 갈수록 확장되고 영광 주민들의 반발도 거세지면서 원전의 재가동이 연내 이뤄질지 점점 더 불투명한 상황이 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15일 민관 합동조사단의 조사과정에서 품질검증서가 위조된 원전부품을 납품한 업체 1곳을 추가로 적발했다. 이 업체로부터 공급된 퓨즈·계전기 등 3개 품목 46개 부품이 영광 5호기에 설치돼 있다. 원안위 관계자는 "추가로 적발된 업체 부품까지 모두 교체를 지시했지만 위조 검증서가 얼마나 더 나올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영광 주민들의 거센 반발도 확산되고 있다. 영광 지역 130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영광원전 범국민대책위는 15일 결의대회를 갖고 "원전 안전 확보 없이는 재가동이 안 된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주민들이 충분히 이해할 때까지 소통 노력을 끝까지 하도록 하겠다"며 "영광 5ㆍ6호기가 다 가동 안됐을 경우에는 1월은 정말로 어렵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