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민노총의 총파업 자제 선언을 반기면서도 임금인상률을 터무니없이 높이 잡았다며 난색을 표명했다. 반도체ㆍ휴대폰ㆍ조선ㆍ철강 등 주력 제조업체의 영업이익이 부진한 상황에서 민노총의 요구만큼 임금인상이 이뤄진다면 한국 제조업은 공멸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현실적으로 민노총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재계의 한 임원은 “민노총이 총파업을 최대한 자제하기로 선언한 것은 바람직하다”면서도 “수출 및 내수의 부진으로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이 하락하는 상황에서 인건비 증가는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지금은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해야 할 때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현재 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현장기능직 임금을 동결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재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민노총이 중점을 두는 현장기능직의 경우 정유 등 일부 업종에서는 잔업을 포함해 연간 1억원에 육박하는 임금을 받고 있어 이미 사무직 임금수준을 능가한다”며 “샌드위치 위기론까지 거론되는 상황에서 9%대 임금인상은 무리한 요구이며 (현실을 감안해) 동결해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비정규직 임금과 관련해서는 “정규직과의 격차가 심해 19.5%라는 인상률을 제시한 것으로 이해한다”면서 “이는 정규직 근로자의 양보를 통해 개선돼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정규직 근로자의 양보 없이 비정규직 근로자 임금을 고율로 인상하면 기업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올해 임금협상과 관련해 임금인상 권고안을 2.4%로 제시하고 직무급 도입, 정기승급 폐지, 임금피크제 도입 등 임금체계 조정을 요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