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이 정신없이 끝나고, 둘 만의 오붓한 신혼여행에서의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는 길. 문득, 당장 생활비는 어떻게 해야 할지, 아이를 낳으면 공부시키는데 얼마나 많은 돈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생각이 교차 되기 시작한다.
새로운 재테크는 '개방(OPEN)'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최근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면서 결혼 후 매월 일정한 금액의 생활비를 내서 함께 사용하고 나머지 월급은 각자 알아서 재테크를 하고 있는 부부들을 주변에서 많이 보게 된다. 이 경우 생활비는 생활비대로 사용하고 나머지 월급은 각자 알아서 운용하다 보니 체계적인 자금운용계획도 제대로 세우지 못하게 된다.
일단은 내 월급을 배우자에게 공개하자. 월급 중에서 보험료나 적금 등과 같이 매월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금액을 함께 확인하고, 지출의 최종 목표(노후자금, 주택자금, 교육자금 등)를 다시 재조정해야 한다. 또 매월 총 수입금액의 50%는 이유불문하고 무조건 모으도록 한다. 10%의 자금은 행복한 노후를 위한 은퇴자금으로, 30%는 주택자금 등 목돈마련을 위해, 나머지 10%는 자녀교육을 위한 교육자금으로 자금용도를 구분하여 큰 그림의 자금운용계획을 세운다.
자금용도별로 운용할 규모가 정해지면 다시 기간별로 세분화해 상품을 선정해야 한다. 노후준비를 위한 장기플랜의 연금은 계약기간 10년 이상 유지시 비과세 가능한 연금보험(공시이율 적용) 또는 변액연금(연금개시 시 원금 보장되나 기간 중 투자상품에 따른 손실발생 가능)을 활용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 자금은 우리 아이를 위해 미리 준비해 두도록 한다. 대학을 안가고, 유학을 가지 않더라도, 아이의 미래를 미리 준비해 주자. 최소 10년에서 20년까지의 장기플랜을 세우고 비과세 저축보험과 적립식펀드를 추천한다.
그리고 남아 있는 나머지 월급 50%는 보험료, 각종 공과금 등 고정적인 지출통장과 생활비, 용돈통장으로 구분하여 지출금액을 체크하도록 한다. 이 중 적어도 5~10%는 1년제 적립예금을 신규로 가입해 두기를 권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