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G사태, 정부 나서도 협상 진통 불가피
입력2004-12-28 20:05:24
수정
2004.12.28 20:05:24
■ 채권단, 정부에 중재 요청<br>정부 중재땐 LG그룹도 재협상 명분… 대화나설듯<br>채권단·LG "청산보다는 정상화가 유리" 공감속<br>출자전환규모 입장 커 연내 조정은 낙관못해
LG카드 채권단이 LG그룹의 LG카드 증자문제와 관련해 정부에 중재를 요청한 것은 협상시한이 촉박한 상황에서 합의점 도출이 쉽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 대한 중재요청은 채권단이 내놓을 수 있는 사실상의 마지막 카드인 셈이다.
채권단은 LG그룹측에 수차례 출자전환 규모를 수정 제안한 만큼 더이상 조정할 여지가 없다는 입장이고 LG그룹측은 경제적ㆍ법률적 기조 위에 합리적인 배분기준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거듭하고 있다.
LG카드가 청산되는 것보다는 정상화하는 게 양측 모두에 더 유리하다는 데는 공감하면서도 출자규모를 둘러싸고 입장차이가 전혀 좁혀지지 않고 평행선을 걷고 있다.
특히 LG그룹측이 28일 “공평한 배분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현재 국내 유수의 권위 있는 법률 및 회계 전문가들에게 객관적인 의견제시를 의뢰해놓고 있다”고 밝혀 채권단과 LG그룹이 재협상에 들어가도 배분기준을 둘러싸고 진통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평행선 걷는 채권단ㆍLG그룹
유지창 산업은행 총재는 “29일까지 LG그룹이 추가증자에 참여하지 않으면 채권단만의 출자전환은 어렵다”며 “LG그룹의 분담금 역시 낮출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유 총재는 “LG카드가 청산절차에 돌입하게 된다면 그 책임은 전적으로 LG그룹에 있다”며 “청산에 따른 모든 손실은 LG그룹이 져야 하고 LG그룹에 대한 강력한 금융제재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그룹도 채권단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버티고 있다. 특히 합리적인 분담기준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LG그룹의 한 고위관계자는 “현재의 채권단 방안으로는 도저히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지만 새로운 기준을 정한다면 협상할 여지는 있다”며 “LG그룹과 채권단 모두 동일한 기준에 따라 분담금이 정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중재시기는
정부는 ‘일단 양측이 스스로 풀어갈 것’을 강조하고 있지만 최악의 상황에서는 언제든지 직접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재경부 고위관계자는 “정부가 개입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고 아직은 양측이 협상을 통해 풀어갈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며 “당장 개입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LG카드가 청산된다면 금융시장이나 경제에 미치는 나쁜 영향이 예상보다 클 수 있다”며 “마지막에는 정부가 나서서 청산을 막아야 하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LG그룹이 29일까지 출자전환에 참여할 뜻을 보이지 않는다면 정부가 곧바로 중재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우선 채권단의 청산절차 돌입을 중단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LG그룹측을 설득해 협상테이블로 이끌어낼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정부의 중재가 LG그룹에는 재협상에 나설 수 있는 좋은 명분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지금까지 계열사 이사회의 독자적인 판단에 따른 것이어서 그룹이 이에 대해 압력을 행사하기 힘들다는 원칙을 강조해온 LG그룹으로서는 ‘LG카드의 청산을 막기 위해 정부에 의해 어쩔 수 없이 협상테이블에 앉게 되는’ 모양새를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재협상 성사돼도 난항 예상
정부의 중재로 양측이 다시 협상에 나서더라도 연내에 출자전환 분담금이 결정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LG그룹이 새로운 분담기준으로 분담금을 더욱 낮추려 할 가능성이 높은 데 반해 채권단은 수정 제시한 6,750억원을 더 낮추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채권단으로서는 내부에서조차 2차례에 걸친 분담금 조정이 오히려 신뢰를 떨어뜨렸다는 비판의 소리가 나오고 있어 재조정의 여지가 많지 않다.
LG그룹 역시 그동안의 입장을 바꿔 계열사 이사회와 주주들 설득에 나설 경우 만만치 않은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LG그룹과 채권단의 이견 폭이 너무 커 정부가 나서도 재협상은 진통이 예상된다”며 “내년 1월에야 협상이 가닥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