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어느 나라 금융당국이 해외진출 실적으로 은행을 평가합니까. 금융이 국내에서 벗어나 해외에서 먹거리를 찾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과제지만 이렇게 등 떠밀기 식으로 나가게 되면 문제가 생길 우려가 큽니다. 무엇보다 해외사업은 장기적인 구상을 갖고 신중하게 추진해야 합니다."
최근 만난 한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해외진출 관련 전략을 묻자 느닷없이 이렇게 반문했다. 해외진출을 장기 로드맵 없이 추진하면 단기 성과에 급급하게 되고 이럴 경우 반드시 부작용을 겪게 된다는 것이 그의 지적이었다. 이 관계자는 "우리나라 대형은행들과 규모가 비슷한 외국의 다른 은행들이 해외사업을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올 들어 숨 가쁘게 진행된 해외사업의 여파로 금융권의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 지점과 사무소 등 점포 신설 속도가 너무 빨라 최근의 진출전략이 타당한지 가늠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외국계 은행 임원은 "최근 시중은행들의 진출방식과 속도는 확실히 문제가 있어 보인다"고 전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들어 현재까지 국내 은행들이 해외에 낸 지점 수는 총 30곳에 이른다.
지난 2013년과 2014년에 개소한 은행 해외지점이 각각 13곳, 10곳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올해가 절반도 지나지 않아 3배에 달하는 해외진출 실적을 올린 셈이다. 2월 우리은행의 우리소다라법인이 공식 출범하면서 11개 지점이 동시에 문을 열어 신설 지점 수가 급격히 늘어난 측면도 있지만 이를 제외해도 19곳으로 지난해 신설된 해외점포 수의 2배에 달한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14곳으로 가장 많았고 외환은행 10곳, 신한은행 5곳, 하나은행 1곳 등의 순이다.
이렇게 은행권 해외점포 수가 올 들어 급격히 늘어난 데는 지난해 하반기 도입된 은행혁신성평가가 한몫을 했다는 게 은행권의 시각이다. 물론 해외시장 개척 차원의 자발적인 노력도 있었지만 혁신성평가에 해외진출 항목이 포함되면서 '등 떠밀리며 나갈 수밖에 없는' 부담이 적지 않았다는 얘기다. 한 시중은행 글로벌 담당 임원은 "해외진출이 혁신성 점수에 들어가다 보니 진출에 소극적이면 당국에서는 '우물 안 개구리'라고 지적한다"면서 "게다가 현지화 평가시 현지고객, 직원, 현지자금 운용 비율 등이 은행 사정은 배제한 채 계량적인 지표로만 들어가 은행의 제대로 된 현지화 정도를 평가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