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과 라인이 중국에서 먹통이 된 상황이 한 달 넘게 이어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차단 해제를 약속한 것으로 알려 졌지만 시간이 점점 지나도 정상화의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렇다 보니 일부에서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가 구글처럼 '장기 차단'의 수렁으로 빠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현재까지 카톡의 경우 메시지 송수신을 제외한 일부 서비스가, 라인은 모든 서비스가 중국에서 차단된 상태다.
당초 차단의 원인과 주체에 대해 여러 가지 분석이 나왔지만, 지난 달 중순 중국 관계 당국이 '늦어도 7월 안에는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태가 일단락 되는 분위기였다. 중국 정부가 신장위구르 자치구 유혈사태 5주년을 맞아 '내부 통제' 목적으로 야후의 플리커나 마이크로소프트(MS)의 원드라이브, 인스타그램 같은 외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차단했고, 카톡과 라인도 그 연장선으로 서비스를 제한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8월이 지났는데도 중국 당국이 차단을 풀지 않았고, 명확한 해제 시점에 대한 언급조차 없어 이번 차단 사태는 다시 답보 상태에 놓였다.
이렇게 되자 해당 업체들은 '눈 뜨고 당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제 막 중국 시장에서 국내 토종 메신저가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려 할 때 서비스 차단이라는 악재를 만났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하루만 지나도 이용자 이탈이 시작되는 모바일 메신저의 특성상 중국 시장 진출이 매우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카카오나 라인이 이와 관련한 방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을 것이고, 실제로 무엇인가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외교상의 이유'를 들며 분명한 입장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는 "외교적인 측면이 있다 보니 차단의 원인이나 차후 수습 진행 경과에 대해서 공개하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된다"며 "외교부와 함께 중국 정부와 계속 접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카톡과 라인이 구글처럼 차단 장기화의 늪에 빠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이 이면에는 중국 정부의 자국 산업 보호도 한 몫을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로써 곧 해결이 될지, (사태가) 장기화할지 예측을 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윤경환·조양준 기자 ykh22@sde.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