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배포한 '황사대비 분야별 안전관리 정보'에 따르면 황사는 모래와 함께 중금속·바이러스·미생물 등을 포함하고 있는 만큼 황사와 함께 몸 안에 들어온 유해물질이 잘 배출되도록 물을 자주 섭취해야 한다.
콘택트렌즈를 쓰는 경우 황사철에 눈이 더 건조해지고 충혈, 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착용시간이 8시간을 넘지 않아야 한다. 집에 돌아오면 렌즈를 바로 빼고 인공눈물 등으로 눈을 세척하는 것이 좋다.
포장되지 않은 과일, 채소, 견과류는 황사를 피해 플라스틱 봉투나 용기에 보관하고 반찬 등 남은 음식물도 반드시 덮어놓아야 한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은 호흡기 질환이 우려되는 만큼 황사방지용 마스크를 꼭 쓰는 것이 좋다.
식약청 관계자는 “일부 여성들은 화장이 지워질까봐 마스크와 얼굴 사이에 수건이나 휴지 등을 끼워넣은 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마스크의 밀착력과 효과를 떨어뜨리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