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구글 쓰나미' 한국 인터넷산업 덮치나
입력2005-12-01 09:08:07
수정
2005.12.01 09:08:07
시가총액 120조원..MS도 위협검색시장 장악 최대강점.. 기술.서비스 '거품론'도 '이용자 중심주의' 무기로 국내 업계와 일전 예고
(서울=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 미국 검색 포털사이트 구글이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를 위협할 정도로 급성장하면서 세계 IT(정보기술) 산업의 총아로 부각되고있다.
특히 구글이 최근 한국 지사 설립 준비 작업에 들어가는 등 한국 사업에 본격착수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인터넷 강국'을 자처하는 한국 IT 업계에 밀어닥칠 '구글 충격파'가 뜨거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구글 도약에 MS도 바짝 긴장 = 약진하는 구글의 위상은 주식시장의 평가에서단적으로 드러난다.
구글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현재 시가총액 약 1천190억달러로 MS, 인텔, IBM에 이어 미국 IT(정보기술) 기업 중 4위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 8월 주당 85달러로 나스닥 시장에 상장한 이후 불과 1년 3개월만에주가를 다섯 배 가량 부풀린 것으로 구글은 미국 기업 중 최단시간에 시가총액 1천억달러를 돌파한 업체가 됐다.
이처럼 시장이 구글에 열광하는 것은 우선 탁월한 실적 때문으로 구글은 3분기매출액 15억7천800만달러, 영업이익 5억2천900만달러, 순이익 3억8천100만달러(11%)를 기록해 전분기보다 매출액은 14%, 영업이익ㆍ순이익은 11%씩 늘렸다.
구글에 힘을 실어주는 것은 꾸준히 성장하는 검색 광고 시장에서 구글의 확고한지위로 구글은 최근 미국 검색 광고 시장의 50% 안팎을 차지해 점유율 20% 대에 머문 야후를 두 배 정도로 앞서고 있다.
구글은 검색 광고로 벌어들인 막대한 현금을 무기로 여러 분야로 손을 뻗쳐 e-메일, 지역 검색, 메신저ㆍ인터넷전화, 가격 비교, 도서 검색, 블로그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야후, MSN, 이베이 등 기존 강자들의 영토를 차츰 빼앗고 있다.
게다가 PC내 자료 검색(데스크톱 검색), 이미지 파일 관리 프로그램, 뉴스ㆍ메일ㆍ주식 시세 등 각종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하는 사이드바 등을 통해 MS의 아성인PC 응용프로그램 시장까지 넘보고 있다.
그 결과 빌 게이츠 MS 회장이 사내 e-메일을 통해 'IT산업이 인터넷을 향해 급격히 이행하는 파괴적인 지각변동을 겪을 것'이라고 경각심을 촉구하고 자사의 양대축인 윈도 운영체제(OS)와 오피스 프로그램의 온라인 버전을 내놓는 등 'IT 제국' MS 마저 구글의 위협을 심각히 받아들이는 국면에 이르렀다.
◇구글, '거품'도 있다 = NHN[035420], 다음[035720] 등 한국 인터넷 업체들과구글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한국과 미국을 포함한 서구의 시장 규모.
구글의 텃밭인 검색 광고 시장만 봐도 올해 국내 시장이 약 3천500억원, 미국은그 15배 이상인 54억달러 규모로 추산되며 국내 시장이 급성장 중이지만 미국의 저조한 인터넷 보급률 등을 감안하면 앞으로 격차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같은 기본적인 시장 크기의 차이가 양국 인터넷 업계에서 각각 수위 업체인구글과 NHN이 매출액은 17배 이상, 시가총액은 30배 이상 격차가 나게 한 가장 큰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구글이 의외로 기술이나 서비스에서 한국 업체들보다 크게 앞섰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국내외에서 '구글 붐'을 일으키고 있는 지역 검색, 메신저ㆍ인터넷전화, 가격 비교, 도서 검색, 블로그 등 구글의 새 서비스 대부분은 한국보다 늦거나 비슷한 시기에 나왔다.
검색 광고만 해도 네이버가 2000년 7월 시작해 구글보다 석 달 앞섰으며 블로그나 도서 본문 검색도 1년 정도 한국 업체들이 앞서 시작하는 등 최근 구글의 영역넓히기가 국내 업계에서는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라는 것.
업계 관계자는 "구글이 선풍을 일으키고 있는 새 서비스들은 국내에서는 이미보편화돼 업체들간의 경쟁이 치열한 '레드 오션'"이라며 "서구 매체들이 호들갑을떠는 '구글이 제시하는 인터넷의 미래'는 한국에서는 이미 현재"라고 말했다.
특히 구글이 북미ㆍ유럽 등 초고속인터넷 보급이 늦은 지역의 시장을 장악한 반면 이미 초고속인터넷 중심으로 옮겨간 한국ㆍ일본ㆍ중국에서는 자국 업체에 밀려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도 구글이 아직 저속 인터넷에 더 익숙한 존재임을 보여준다고 국내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한다.
구글이 최근 샌프란시스코 시내에 무선랜망을 설치하고 광케이블을 사들이는 등자체 네트워크를 갖추는 것도 혁신적 도전이라기보다 아직 취약한 미국의 네트워크인프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궁여지책에 가깝다는 시각도 있다.
결국 구글이 거대한 서구 시장을 업고 각광받는 것은 당연하나 기술, 서비스에서 한국 등 세계 인터넷 산업을 선도하는 것으로 비치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국내 업체들의 견해다.
◇한국서도 힘 쓸까 = 구글 '한국 상륙작전' 성공의 관건은 결국 NHN[035420]포털 네이버의 지식검색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검색 시장에서 구글 검색 모델이 효과를 발휘할지 여부로 집약된다.
일단 웹 검색에서는 구글 검색 기술이 국내 포털들보다 앞선 것은 대체로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기술적으로 그리 큰 차이는 아니며 한글로 된 웹사이트가 영어권에 비해 절대적으로 적은 것은 감안하면 포털들이 직접 콘텐츠를 확보하는 한국적검색이 한국 시장에서는 힘을 발휘한다는 주장이 오히려 설득력이 있다.
NHN 관계자는 "웹 상의 데이터베이스(DB)가 방대한 서구에서는 구글 같은 웹 검색 기술이 중요하지만 한국에서는 이것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우리가 적지않은 비용과 인원을 투입해 지식검색 등 이용자 생산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s,UCC)를 끌어모으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구글이 최근에서야 구글 베이스 등의 서비스를 통해 UCC 확보에 나선 반면 한국은 오래전부터 업체들이 지식검색, 블로그, 미니홈피, 카페 등 갖가지 서비스로 UCC를 차지하기 위해 피나는 경쟁을 벌여 왔다는 것.
최휘영 NHN 대표는 "구글이 이미 2년간 한글 서비스를 해왔고 마케팅도 했지만별 반응을 얻지 못해 1라운드는 한국 업체들의 승리로 끝났다"며 "이는 단순 웹 검색 모델만으로는 한국 시장에서 먹히기 힘들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구글의 무기인 막대한 자금력도 마케팅보다 서비스 자체의 질이 관건인 인터넷 시장에서는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고 국내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낙관적인 예상만 믿고 구글의 도전에 안이하게 대처하는 것은매우 위험하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악해지지 말라(Don't be evil)'는 구호로 상징되는 구글의 이용자중심 철학이 국내 네티즌들에게 신선하게 다가올 가능성이 크다.
검색 광고만 해도 국내 업체들은 광고를 가장 상단에 올려놓는 반면 구글은 광고를 검색 결과와 분리된 한 쪽에 간단히 보여줘 이용자의 혼동을 막고 있으며 국내포털에서 흔한 사이트를 뒤덮는 번잡한 배너 광고도 구글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구글의 e-메일 G메일도 이용자 중심의 간소한 사용자 환경(User Interface)과메일 프로그램을 통한 보내기, 받기 등 풍부한 기능 지원으로 대학생 등 새 것에 민감한 젊은 층에서 좋은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또 데스크톱 검색, 이미지 파일 관리 프로그램, 사이드바 등 편리하고 강력한응용프로그램들과 여기서 드러나는 기술력도 국내 포털에서 찾기 힘든 참신한 요소로 꼽히고 있다.
이에 대해 NHN 관계자는 "우리 포털들도 툴바 등 여러 응용프로그램을 내놨지만큰 반응이 없어 시들했을 뿐 기술력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초고속인터넷과앞으로 나올 와이브로 등 앞선 네트워크 인프라 기반의 선진 서비스로 구글의 도전을 일축할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야후코리아 관계자는 "그간 국내 포털들이 다소 지엽적인 경쟁을 벌여온 데 반해 구글이 본격 상륙하면 이제 기술,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업계가 크게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며 "자본ㆍ기술력이 안 되는 곳은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크지만대형 포털들은 구글과 제대로 경쟁할 수 있을 것"고 말했다.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