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2차 핵실험 언제… 어디서… 라이스 訪韓·美 중간선거등 說·說·說…국제사회 파급효과 극대화 시기 택일 강행 가능성1차 실험 장소 함북 길주군 만탑산 인근에 이목집중"中 강력 경고…실험 어려울 것" 일부 분석도 힘실려 권구찬 기자 chans@sed.co.kr 안길수 기자 coolass@sed.co.kr 북한의 2차 핵실험은 지난 9일 첫번째 핵실험 강행 이후 예상됐던 수순으로 받아들여진다. 북한 특유의 벼랑 끝 전술과 핵폭탄을 제조하기 위해 여러 차례 핵실험을 반복해야 기술적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문제는 시기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핵실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2차 실험 시기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방한하는 19일이나 ▦한미연례안보협의회(SCM)가 열리는 20일 ▦미국 중간선거(11월7일) 직전 중 하나를 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대북 핵 봉쇄의 실질적인 키를 쥐고 있는 중국이 강력한 경고를 보내고 있어 북한이 2차 핵실험을 강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힘을 얻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17일 논평을 통해 "북한이 책임 있는 자세를 갖기를 바라며 상황을 악화시키는 조치를 취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북한 핵실험 또 강행하나=국제사회는 북한의 2차 핵실험이 임박한 것으로 보고 있다. 유엔 안보리 결의안 채택으로 궁지에 몰린 위기 국면을 정면돌파하기 위해 긴장을 극대화해 북미 협상 과정에서 주도권을 잡으려는 의도가 짙다는 분석이다. 또 1차 실험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에서 핵 보유국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데 대한 '못박기' 성격도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은 1kt(TNT 1,000톤) 미만이었던 1차보다 큰 규모로 실험을 할 것으로 보인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1차 실험이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면 2차는 핵 보유국으로 가기 위한 검증 실험"이라며 "이는 대외적으로 핵 보유국으로 확실하게 인정받기 위한 의도된 수순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1차 핵실험 과정에서 드러난 기술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2차 실험을 추진할 필요성도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이춘근 박사는 "수차례의 핵실험이 연속적으로 진행돼야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능력만 된다면 실험을 많이 할수록 정확한 정보와 더 높은 완성도를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 2차 핵실험 중국 통보했나=미 NBC의 18일 보도는 북한의 추가 핵실험설에 기름을 부었다. NBC는 익명의 미국 관리 말을 인용, "북한이 연속 핵실험 실시 계획을 중국 측에 통보했다"고 보도한 것. 북한이 1차 핵실험 실시 직전에 이 같은 계획을 중국 측에 20분 전에 통보하고, 중국이 이를 미국과 한국 정부에 알렸던 점에 비춰볼 때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2차 실험이 '초읽기'에 돌입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CNN은 한 발 더 나아가 미 정보소식통을 인용, "3곳에서 핵실험을 준비하는 움직임이 미 첩보위성에 포착했다"고 긴박한 움직임을 전했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는 "중국이 통보받은 것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부인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가 한중 압박을 위해 미 언론에 잘못된 정보를 흘렸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험 시기와 장소 사전 파악은 사실상 불가능=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2차 핵실험 준비 징후들을 곳곳에서 포착했지만 이것이 진짜 핵실험 준비인지, 언제 실험이 단행 될지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북한이 2차 핵실험을 강행할 가능성이 높지만 그 시기를 첫 실험 때와 마찬가지로 미리 파악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 다만 국내외 전문가들은 1차 핵실험 장소인 함경북도 길주군 만탑산 인근을 주목하고 있다. 미 정보위성을 통해 만탑산 일대에서 차량 및 인력 이동 동향이 관측됐으며 국가정보원도 유사한 징후를 감지했다고 밝힌 바 있다. 입력시간 : 2006/10/18 17:55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