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금융계에 따르면 이 행장 측은 지난 26일 검찰에 낸 고발장에서 지난해 9~12월 임 회장으로부터 4차례에 걸쳐 국민은행 IT본부장의 교체를 요구 받았다고 지적했다. 임 회장은 이 행장이 본부장 교체에 소극적으로 나오자 지난해 12월 후임자를 직접 추천해 본부장을 교체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임 회장이 국민은행 주전산기 교체결정 과정에 사실상 직접 개입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향후 검찰 수사과정에서 임 회장에 대한 조사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고발장에는 KB금융 최고정보책임자(CIO) 김재열 전무와 문윤호 KB금융 IT기획부장, 조근철 국민은행 IT본부장 등 3명이 피고발인(업무방해죄)으로 돼 있다. 고발장에서 임 회장은 지난해 9월26일 골프접대, 유학비용 지원 등 국민은행 IT본부장과 업체간의 유착의혹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에 이 행장은 감찰반에 조사를 지시했지만 특별감찰 과정에서 금품의혹을 찾지 못했다. 한달 뒤인 10월24일 이 행장은 임 회장에게 이 같은 내용의 감찰결과를 보고했다.
하지만 임 회장은 “방심하지 말라. 현실 안주보다 미래지향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기득권의 꼬리를 잘라야 한다”며 본부장을 조기 교체해달라고 또 다시 요구했다.
이 행장은 11월28일 임 회장이 재차 본부장 교체 필요성을 언급하자 “7월에 임명된 본부장을 빨리 교체하면 잡음이 증폭된다”고 반발했다. 이에 임 회장은 “현재 본부장 자체의 문제가 심각하다”며 이 행장으로부터 교체 검토 약속을 받아냈다. 임 회장은 이 자리에서 “행장의 인식이 다소 안이하다”며 이 행장을 타박하기도 했다.
이 시점에서 국민은행 IT본부장은 김재열 전무에게 “전산시스템 변경계획을 은행이 주도하겠다”고 통보했고, 전산시스템 변경 주도권을 놓고 지주와 국민은행 간 대립이 극으로 치달았다.
임 회장은 12월20일 이 행장을 불러 후임 IT본부장 선임을 종용했고, 일주일 뒤(27일)에는 직접 조근철 당시 지점장을 추천해 본부장 승진을 관철했다.
이 행장은 고발장에서 김 전무가 이런 일련의 과정에 임 회장을 움직였고 보고서 허위조작 등으로 이사회 결정을 유도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행장은 고발장 곳곳에 임 회장의 행위에 ‘집요한 교체 시도’, ‘허위 사실로 교체 시도’, ‘교체를 강권’ 등 표현을 써 임 회장에 대한 서운한 감정을 드러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