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은행들이 금융당국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권고치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은행들의 자본확충펀드 활용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처럼 정부가 지분을 갖고 있는 은행들은 물론 최근에는 SC제일은행 같은 외국계 은행도 자본확충펀드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 자본확충펀드를 이용하는 은행들의 숫자는 급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자본확충펀드 활용 잇따를 듯=현재 국책은행인 기업은행(7.24%)과 수출입은행(7.31%), 예금보험공사가 대주주인 우리은행(7.70%)이 기본자본비율(Tier1) 9%에 못 미치고 있다. 이 밖에 대구(7.98%), 부산(8.43%), 광주(7.58%), 제주(8.19%), 전북(7.50%), 경남(7.84%) 등 지방은행도 Tier1 비율을 못 맞추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은행 가운데 상당수가 자본확충펀드를 이용해 기본자본비율 맞추기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기로 사실상 대주주들의 추가 증자가 어려워 하이브리드 채권이나 후순위 채권을 발행해 이를 자본확충펀드가 인수하게 하는 방법으로 자본확충을 하는 것이 현실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은행들이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채권이나 후순위채를 발행하는 것보다 1%포인트 정도 낮은 금리로 인수할 예정이어서 은행들 입장에서는 매우 유리한 것도 자본확충펀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우리은행은 이미 2조원 이상의 자본확충펀드 활용의사를 밝혔고 기업은행도 펀드 출범시 가장 먼저 이를 이용할 것이라고 밝힐 정도로 적극적이다. 대구ㆍ부산은행 등 지방은행도 자본확충펀드를 이용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또 금융당국이 마이너스통장 형태로 은행별로 한도를 배정해 자본확충펀드를 이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어서 신한ㆍ국민은행 등 시중은행도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실물경제가 빠르게 침체되고 있어 은행들이 자본확충펀드를 이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펀드를 이용할 수 있는 한도를 설정하면 경영권 간섭 우려가 상당히 줄어들어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용 규모는 9조원 달할 듯=은행들의 자본확충펀드 이용 규모는 9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은 Tier1 9% 미달 11개 은행의 자본확충 수요가 9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기본자본비율이 낮은 은행들이 권고치인 9%를 충족시키려면 9조원가량의 자본수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번주 출범하는 은행 자본확충펀드 규모도 이와 비슷한 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융당국은 경기침체 및 기업구조조정 등으로 은행의 BIS 비율 하락이 예상됨에 따라 자본확충펀드의 활용, 증자, 내부유보 확대 등을 통한 적정자본 유지를 지속적으로 유도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