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은 성인 사망의 주요 원인 질환 중 하나로 꼽히는데, 크게 출혈성 뇌졸중(뇌출혈)과 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뇌졸중의 70~80%가 뇌경색이다.
가천의대 길병원 응급의학과 조신성 교수팀과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신상도 교수팀은 2007년 11월부터 2009년 10월 사이 허혈성 뇌졸중으로 전국 29개 응급의료센터를 찾은 2만5천818명을 젊은층(15~45세)과 노년층(46세 이상)으로 나눠 발병 원인과 치료 예후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전체 환자 중 젊은층 뇌경색은 5.5%인 1천431명이었다.
눈길을 끄는 건 46세 이상 노년층 환자그룹에서 당뇨와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등의 만성질환 비율이 전반적으로 크게 높았지만, 유독 흡연과 음주는 젊은층에서 그 비율이 훨씬 높았다.
흡연의 경우 한번이라도 피운 적이 있는 환자가 젊은층의 57%, 노년층의 40%로 각각 집계됐다. 특히 뇌경색으로 병원에 옮겨질 당시 흡연자 비율은 젊은층이 48%로 노년층(25%)의 약 두 배에 달했다. 45세 이전 젊은층 뇌경색 환자의 절반가량이 발병 시점에서 ‘골초’였다는 분석도 가능한 셈이다.
음주도 젊은층의 53.1%가 평소 즐겼던 것으로 파악됐지만 노년층에서는 음주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29.7%였다. 뇌경색 발생 전 아무런 증상이 없었던 ‘무증상 뇌경색’ 비율 역시 젊은층이 80%로 노년층(67.8%)보다 높았다.
반면 치료 중 사망률은 젊은층(1.1%)이 노년층(3.1%)보다 낮았으며, 치료 예후도 젊은층이 노년층보다 양호한 것으로 의료진은 평가했다.
국내 젊은층 뇌졸중의 발병 추세를 처음으로 연구한 이번 논문은 대한의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JKMS’ 최근호에 실렸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