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ens가 전격적으로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대주주인 KT와 투자자인 금융회사들과의 갈등이 더 심해졌다. 여기에 은행과 증권사 간의 지급보증 문제도 얽혀 있어 금융회사 간 소송전으로 비화될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다.
KT는 kt ens가 독자생존에 실패할 경우 버릴 수도 있다는 강경한 태도다. 당장 12일 상환해야 하는 491억원의 기업어음(CP)을 지원해줄 경우 올해 예정된 1,500억원 규모의 다른 채무에 대한 상환도 책임져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지금부터 분명한 선을 긋겠다는 것이다. 법적인 한도 내에서 투자한 금액 안에서만 책임을 지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강조한다.
반면 은행들은 대주주인 KT를 보고 kt ens 사업에 투자하고 금융거래를 한 만큼 "KT가 도의적인 책임을 피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하게 비난한다.
문제는 kt ens의 유동성 위기가 금방 해결될 수 없다는 점이다. 지난해 5,006억원 매출에 46억원의 당기순익을 낼 정도로 안정적인 영업을 해왔지만 대출사기로 신용도가 뚝 떨어지면서 투자자 확보에 실패했다. 회사 측은 "시간이 촉박한 상황에서 일시적 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부도를 피하기 위해 법정관리를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KT가 '자금지원 중단'을 선언해 앞으로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강석 kt ens 대표도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연말까지 1,500억원 규모의 채무변제가 도래하는 등 (KT의 일시적인) 자금지원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KT가 kt ens와 선을 긋고 독자생존을 요구한 만큼 kt ens의 앞날은 험난하다. 단기적 구조조정은 물론 현재 진행 중인 태양광 사업 등 PF 사업에 대한 매각도 불가피하다.
은행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한다. "이렇게까지 무책임하게 나올 줄 몰랐다"며 전형적인 꼬리 자르기라고 비난한다. KT와 kt ens에 대한 불신도 깊어졌다. 법정관리 신청 이유도 곧이곧대로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491억원의 CP를 "못 막은 것이 아니라 안 막은 것"이라고 본다. KT에 자금요청을 하지 않는 등 법정관리 신청을 염두에 두고 수순을 밟아왔다는 해석이다.
특히 태양광 사업과 관련한 채무조정에도 적극 나서지 않았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사기 대출이 발각된 후 kt ens의 자금 흐름을 면밀히 살펴보겠다는 입장이다. 한 금융회사 관계자는 "소송으로 갈 경우 은행에 돈을 물어내야 할 처지가 되자 법정관리를 신청한 게 아니냐"며 "법정관리를 신청했다는 것은 '돈을 갚은 생각이 없다'는 시그널을 보낸 것"이라며 격분했다.
그럼에도 이번 일로 은행권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은행들이 지난해 충당금을 쌓았기 때문이다. 하나은행이 1,624억원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봤고 국민은행과 농협은행도 각각 297억원의 사기대출 피해를 봤다. 저축은행도 1,000억원이 넘는 손해가 예상돼 지난해 결산에서 충당금을 쌓았다. kt ens의 법정관리가 받아들여지면 은행권의 채권회수가 상당히 늦어지게 된다.
은행과 증권사 간 소송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하나은행은 한국투자증권·신한금융투자의 지급보증을 받은 729억원에 대해서 충담금을 쌓지 않았다. 증권사와 소송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kt ens와의 소송에, 금융회사 간 소송까지 겹쳐 진흙탕 싸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융회사들은 법정관리가 현실화됐다고 보고 피해금액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송준비에 착수했다. 검찰의 수사 결과 발표가 끝난 뒤 소송을 제기하려던 것에서 소송이 더 빨라진 만큼 법리 논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