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에 대한 법정관리가 시작됐지만, 문제는 지금부터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현금이 거의 바닥난 것으로 드러나 벌써부터 추가 유동성 지원이 없다면 쌍용차는 회생계획 조차 세우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법원에 따르면 쌍용차가 동원할 수 있는 현금 보유액은 법정관리 신청 당일인 지난달 9일 현재 74억원에 불과했다. 모든 채권ㆍ채무가 동결됐지만 이 정도 자금으로는 정상적인 경영이 힘들다. 채권단의 자금지원을 기대하기도 쉽지 않다. 법정관리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단이 출자전환이나 추가 대출 등의 지원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법정관리 개시는 채권단 등 이해관계자들의 희생을 전제로 한 것"이라며 "따라서 쌍용차가 추가 자금을 요구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나 채권단의 지원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쌍용차가 자금 계획을 세운 후 법원에 이를 요청하면 법원이 판단해 이를 허가하고 공익채권으로 인정해 주는 경우다. 공익채권에는 우선변제권이 있기 때문에 은행 등이 자금 지원에 나설 수 있다. 이에 대해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이것도 담보권자에 비해서는 후순위이기 때문에 은행들이 쌍용차의 회생 가능성을 어떻게 평가할 지에 따라 결정될 것"고 전했다. 또 다른 변수는 최대주주인 상하이차의 지원 여부. 대주주의 협력 없이는 쌍용차의 회생을 기대하기 어렵다. 쌍용차가 회생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인 중국 수출 활로를 뚫기 위해 상하이차의 도움이 절실하다. 업계 관계자들은 "법원이 관리인을 통해 상하이측과도 쌍용차 회생을 위한 협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입을 모았다. 쌍용차는 한발 더 나아가 상하이차의 자금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법정관리인으로 선임된 박영태 기획ㆍ재무 부본부장(상무)은 "그동안 상하이차는 쌍용차에 대해 지원약속을 철저하게 이행했다"며 "현재 상하이차로부터 받아야 할 자금이 4,700만 달러인데 지급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 부본부장은 이어 "쌍용차는 작지만 강한 기업으로 특히 인력과 인적 네트워크, 연구소 등이 우수하다"며 "대우차가 법정관리를 2년 만에 졸업했지만 쌍용차는 그 시기를 더 앞당길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쌍용차의 이 같은 자신감은 향후 회생의 최대 관건인 신차 출시를 통한 판매 확대 방안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쌍용차는 도시형 콤팩트 스포츠유틸리티차량 'C200'의 오는 9월 출시를 시작으로 1,500~1,800cc 준중형 승용차(B200)도 차질 없이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쌍용차는 최대 난제인 인력 구조조정도 최대한 잡음을 줄이며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회생을 위해서는 최고 30%의 감원이 필요하다는 분석. 쌍용차는 다음 주 중 법정관리인과 노조간 상견례를 갖고 회생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디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