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KT와 포스코 등에 예보가 보유 중인 우리금융 지분 57% 중 컨소시엄 형태로 사들여 과점적 주주가 돼달라며 민영화 참여 방안을 타진하고 있다.
우리금융은 현재 우리은행이 보유 중인 비씨카드 지분 총 27.65% 가운데 20%를 KT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우리금융 민영화에 참여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금융은 그동안 재무적 투자자 4~5곳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주주별로 우리금융 지분 4~9%를 나눠 갖는 과점 주주체제의 민영화 방식을 선호해왔다. 이달 초 정부가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발표하자 시장에서는 ▦지분 일괄매각 ▦합병 ▦계열사 분리매각 ▦지분 분할매각 등 네 가지 방안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제시했다.
이 중 계열사 분리매각은 광주·경남은행 매각으로 사실상 진행할 예정이고 나머지 세 가지 방안 가운데 지분 일괄매각과 분할매각이 급부상하고 있다. 정부도 연기금과 일부 금융회사, 사모투자펀드(PEF)들이 참여해 특수목적회사(SPC)를 설립, 우리금융 지분을 소유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우리금융의 한 관계자는 "KT에 우리금융 민영화 참여를 타진하고 있다"며 "아직은 아이디어 차원에서만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컨소시엄에 포함될 후보군으로는 KT와 포스코 등 우리은행의 기업 고객들과 국민연금 등 각종 연기금, 해외 대형 투자은행(IB) 또는 PEF이 거론되고 있다. 이들 투자자가 예보 보유 지분 가운데 30%가량을 나눠 사들이면 우리금융은 지배주주 없이 독자 경영을 할 수 있다.
금융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우리금융이 매각 대상이지만 지분을 받아줄 수 있는 투자자들을 모집해 컨소시엄을 구성한 후 인수 주체자를 세우는 작업은 충분히 가능하다"며 "이 경우 지배주주 없이도 우리금융의 독자경영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당국의 한 관계자는 "우리금융이 지분 분산 매각을 위해 움직이는 것을 문제삼을 수는 없다"며 "분산 매각을 할 때 공적자금 회수를 극대화하고 금융산업 발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따져야 해 입찰과정을 지켜보고 결정할 사항"이라고 언급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