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창조경제활성화특별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전하진 의원은 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회 서울경제 국회 FIT(Future, Insight & Trend) 포럼에서 "창조경제의 핵심은 수많은 자원을 하나의 시스템 또는 서비스로 통합해 보다 큰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라며 "정부는 이업종 간 협업과 융합·혁신이 이뤄질 수 있는 기반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이어 창조경제를 오케스트라에 비교하며 "반도체와 조선, 철강, 자동차, 정보통신기술(ICT) 등 수많은 악기가 있는데 이것들을 어떻게 조합해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낼지가 중요하다"며 "큰 틀의 조감도를 그리고 조감도에 따라 누구는 지휘자(키 플레이어) 역할을 하고 누구는 어떤 악기를 연주하고 하모니조화를 이뤄 오케스트라 연주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창조경제"라고 말했다.
창조경제시대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은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 등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특히 창조경제시대 혁신주체로 소상공인과 사회적 기업이 부상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창조경제활성화특별위원회 제2소위원회 위원장인 전순옥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유럽 등 선진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창조경제의 핵심은 양질의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것"이라며 "이에 정부는 좋은 일자리를 공유하고 나쁜 일자리를 바꾸는 고용 친화적 산업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통해 창조경제의 핵심주체로 떠오르고 있는 도시형 소상공인의 고용 창출을 확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제안했다.
정부만 한국정보화진흥원 신기술서비스단장(서울경제신문 객원기자)은 "한 무인기(드론) 개발업체는 기술이 뛰어나지만 서비스 도입에 대한 규제가 강해 발목이 잡혔고 전기자동차를 개발한 한 중소업체의 경우 자금이 부족해 연구소부지가 아닌 실제 도로테스트를 하려고 해도 현행법 때문에 난관에 부딪쳐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가 창조경제에 걸림돌이 되는 관련 규제를 풀고 산업 간 융합의 결과물을 구체적인 비즈니스와 서비스로 연결할 수 있는 협업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고경모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기획국장은 "창조경제의 핵심은 창조경제혁신센터로 이곳은 이슈와 어젠다를 발굴하고 산업 간 융합과 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의 선봉자 역할을 할 것"이라며 "특히 혁신센터가 구심점이 돼 멘토링(자금+컨설팅) 지원, 신산업 육성 등 능동적 창조경제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