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SectionName(); 우리금융, 천문학적 인수가… 투자유치 불가피 [외국계 투자은행, 군침]7조~8조 달해 국내지주사등 감당 못해지방선거 변수로 하반기이후 본격 나설듯 문승관기자 skmoon@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우리금융지주의 지배지분 '50%+1주'는 11일 종가 기준(주당 1만3,800원)으로 약 6조원에 육박한다. 여기에 10~30%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하면서 가격 7조~8조원에 이른다. 현실적으로 국내에는 이 같은 천문학적인 금액을 감당할 금융지주사가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KBㆍ하나 등의 금융지주 중 한곳이 우리금융과 주식 교환을 통해 새 지주회사를 만드는 방식이다. 우리금융의 자회사를 분리해 파는 방안도 전체 몸집을 가볍게 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또 해외투자가들을 유치하는 방안도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외국계 투자가들도 여기에 주목하고 있다. 반면 산업은행과의 인수합병(M&A)은 가능성이 낮다는 게 외국계 투자가들의 중론이다. 정부 소유 은행을 통합하는 방식의 M&A는 민영화 취지에 역행할 뿐 아니라 시너지 효과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민영화 서두르지 말아야" 일침=현재 우리금융도 정부 의지에 발맞춰 연내 민영화를 마무리 짓기 위한 준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금융의 한 관계자는 "민영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내부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며 "민영화를 염두에 두고 해외투자가들을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우리금융 민영화를 둘러싼 사전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속도 조절론'을 주문하고 있다. 자칫 '제2의 론스타' 사태로 번질 수 있어 외국계 투자가들이 부담을 느낄 수 있고 정부가 카드를 미리 내보여 '딜'의 주도권을 잡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외국계 투자은행(IB)의 한 고위관계자는 "우리금융 민영화에 속도를 내겠다는 정부의 의지는 이해하지만 내보이지 않아도 될 카드를 섣불리 꺼내는 등 너무 앞서나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반기에나 투자 가능할 듯=우리금융 M&A에 정통한 관계자들은 외국계 투자가들이 한국 금융 시장에 대한 투자를 오는 6월 지방선거 이후로 모두 보류하고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외국계 투자가들의 본격적인 투자 여부는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외국계 대형 사모투자전문회사(PEF)의 한 관계자는 "외국계 투자가들이 우리금융 민영화 등 한국 금융 시장에 대한 투자 결정을 대부분 6월 이후로 미뤘다"며 "지방선거 이후 어떠한 정치적 변수가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외국자본들의 특성상 리스크를 감내하면서까지 당장 투자에 나서지는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금융지주사의 한 고위관계자도 "최근 홍콩과 미국 현지 등을 돌아본 결과 국내 금융 시장에 대한 현지 투자가들의 관심이 높지만 정치적 변수를 고려해 당장의 투자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며 "중국에 싸고 좋은 매물들이 많은 것도 당장의 투자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언급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