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 삼성물산 합병과 관련해 "엘리엇식 자본투자도 법령 테두리 안에만 있다면 환영한다"고 말했다. 또 진통을 겪은 삼성물산 합병을 계기로 기업이 주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이날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초청간담회에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이 주주 가치를 훼손했다는 지적에 대해 "합병은 상법 등 한국의 관계 법령에 따라 주주들이 결정한 사안"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최 경제부총리는 "주주 이익은 단기적인 측면도 있지만 중장기적인 측면도 있다"면서 "다만 한국 경제는 조금 더 성숙해야 하는 단계여서 단기적인 이익과 중장기적인 이익이 같이 조화롭게 추구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주주의 중장기적인 이익이 뭐냐'는 질문에 대해 "주주 이익을 존중하는 경영이 반드시 이뤄져야 하지만 단기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이 중요하다는 얘기"라며 "예컨대 기업이 이익을 냈을 때 단기적 주주 이익만 생각하면 배당을 늘리려 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투자가 나와 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 경제부총리는 해외 투자 활성화 방안과 관련해 "인수합병(M&A)을 통한 기술 개발과 개인 투자처를 다양화하기 위한 조치"라며 "환율 목적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히려 현재 거시건전성 대책이 자본유출방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앞으로 미국 금리 인상 이후 급격한 자본유출이 진행될 경우에는 유출 억제로 방향을 바뀔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