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윤모양(23)은 볼 쪽에 생긴 큰 화농성여드름이 시간이 지날수록 갈색으로 변하여 한의원을 찾았다. 바로, 결절성 여드름이 원인.
결절성 여드름은 일반 여드름과 마찬가지로 피지분비 항진 등으로 발생하며, 최근 이 밖에도 병원성 포도상구균, 켈로이드 체질, 피지샘의 분비물에 대한 과민반응 등이 염증의 만성화여 관여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적인 여드름은 얼굴과 목, 가슴 등의 모공과 피지선이 발달한 부위에 모두 발생할 수 있지만, 결절성 여드름은 그 중에서도 목과 등, 어깨 부위에 잘 생겨난다. 처음에는 붉은 색의 잘 아물지 않는 구진으로 시간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 안으로 파고 들어가 사이즈가 커지고 피부는 짓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염증이 계속 반복되면서 염증 만성화가 되면 주위의 여드름들과 깊은 부분에 연결되어 여드름이 없어진 후에도 심각한 여드름흉터를 남기게 된다.
결절성 여드름의 경우 치료 속도가 아주 더디기 때문에 최근 한방치료로 단순한 피부의 염증제거가 아닌, 근본적인 체질을 개선하여 결절성 여드름을 치료하고 있다. 심한 염증이 계속 재발하는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 한약과 함께 재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추가적인 외치료가 병행되고 있다.
화접몽한의원 광주점 배영준 원장은 “결절성 여드름은 목과 등, 어깨 부위게 잘 발생하며 염증이 심한 난치성 질환으로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심한 흉터가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와의 진료를 통해 현재 피부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방법으로 빠른 치료를 시작하는것이 중요하다 ” 라고 조언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위 기사는 해당업체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