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특허청에 따르면 2001년 이후 2014년까지 디지털 감식관련 기술의 특허출원은 모두 135건에 달한다. 2006년까지는 한 해 평균 3건 남짓이던 것이 2007년 이후 연평균 15건으로 크게 늘었다.
디지털 감식의 활용범위가 일선 수사기관뿐 아니라 관계기관이나 민간기업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특허청은 설명했다.
출원인별로는 국가 및 공공연구기관이 40%, 국내기업이 20%, 국외기업이 16%, 개인과 대학이 각각 16%와 7%를 차지했다..아직까지는 정부 주도의 공공분야 중심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감식 대상별로 분석해 보면 컴퓨터·서버를 대상으로 한 출원이 46%이고, 모바일·임베디드는 33%, 인터넷·네트워크는 18%, 데이터베이스는 3%였다.
최근 4년간 컴퓨터·서버를 대상으로 한 출원은 감소하는 데 반해 모바일·임베디드 대상 건이 급증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정보기술 동향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로부터 범죄증거를 찾는 기술도 출원되고 있다. 감식대상의 대표적인 예로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담긴 정보를 들 수 있다.
미국이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감식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4%, 유럽과 일본, 중국도 각각 7% 미만에 그쳐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관계자는 “컴퓨터와 인터넷 환경에만 제한되던 디지털 감식이 이미 클라우드 컴퓨팅과 모바일 SNS 환경까지 확대됐고, 곧 정보기술이 융합된 사물인터넷과 핀테크 환경으로까지 확대될 전망”이라며 “외산기업이 장악한 국내 디지털 감식기술 시장의 현실을 극복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려면 특허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