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은 창업 후 3~5년 새 생존 위기에 부딪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제조업체 300여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창업 후 가장 어려운 시기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32.2%가 ‘창업 후 3~5년’이라고 답했다. 이어 ‘창업 후 11년 이상’(24.4%), ‘창업 후 2년 내’(22.1%), ‘창업 후 6~10년’(21.3%)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는 창업 후 2년이 지나면 본격적인 제품생산에 돌입하면서 자금수요가 늘지만 아직 매출규모가 작고 신용도가 낮아 외부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중소기업이 중견ㆍ대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로 응답기업의 40.4%가 ‘기업자체의 성장역량 확보 부재’를 꼽았고 ‘중국 부상, 대외경제여건 등 환경요인’(38.8%), ‘정부지원의 축소에 따른 성장기피’(19.9%) 등이 뒤를 이었다.
이를 뒷받침하듯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기업은 21.2%에 불과했다. 기업 10곳 중 8곳은 아직 지속적 성장역량을 갖추지 못했다는 의미다.
기업의 성장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책에 대해선 ‘자금지원’(46.9%)을 첫 손에 꼽았다. 이어 ‘인력확보’(34.9%), ‘규제완화’(21.8%), ‘연구개발(R&D)지원’(20.5%)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기업규모별로 50인 미만 소기업은 ‘인력확보 지원’(48.1%), 50~300인 미만 중기업은 ‘R&D지원’(30.1%), 300인 이상 중견ㆍ대기업은 ‘규제완화’(27.6%)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바람직한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정책방향으로는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경쟁력 향상’(65.1%)이라는 응답이 ‘대기업의 잘못된 관행 개선’(34.9%)이라는 답변을 능가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R&D지원예산 확대’(32%)와 ‘전문인력 확보 지원’(29.6%)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기업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심역량을 키우고 정부는 기업역량 향상에 정책지원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특히 생존에 어려움을 겪는 창업 후 5년 내 기업과 중소기업 졸업에 부담을 느끼는 기업 등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높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