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등 고가의 통신 장비가 쏟아지고 있는 요즘, 실제 1가구당 통신서비스에 지출하는 비용은 얼마나 될까.
통계청의 가계동향을 보면 쉽게 가구당 통신서비스 비용을 확인할 수 있지만 최근 이 통계를 놓고 통신업계와 통계청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통신 장비 비용을 제대로 계산했느냐가 논란의 쟁점이다.
19일 통계청의 '2ㆍ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ㆍ4분기 가구당 통신비는 15만4,4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3%나 증가했다. 소비지출 12개 항목 중 의류ㆍ신발(9.3% 증가)과 함께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통신비는 통신서비스(통신 요금, 인터넷 등)와 통신장비(단말기 등)로 나눠지는데 통계청 통계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통신서비스 비용이다. 2ㆍ4분기 가계동향에서 통신서비스 금액은 14만8,200원으로 전체 통신비의 96.0%를 차지하고 있다. 통신장비 금액은 전체의 3.9%인 6,000원에 불과하다.
이동통신사들은 바로 이 부분을 통계청 통신비 조사의 맹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이 90만원대를 호가하고 가입자들이 단말기 할부금으로 월 평균 2만원대 이상을 지출하고 있는데 통신장비 금액이 터무니없이 낮게 조사된다는 것이다.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는 3,000만명에 육박한다.
이동통신사의 한 관계자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 구매 대금은 이동통신 청구서에 통신료와 함께 같이 청구되고 있다"며 "이 때문에 통계청의 설문 응답자들이 이통사의 청구서 금액 전체를 통신서비스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통신장비 비용까지 서비스 비용으로 계산되다 보니 통신비 상승의 주범으로 이통사들만 눈총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통계청은 현재의 통신비 통계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통신장비 비용은 소비자가 2~3년에 한번씩 장비를 구매하는 시점에 한꺼번에 계산돼 통계에 반영된다. 예컨대 1가구가 지난 2ㆍ4분기에 수십만원짜리 스마트폰을 샀다 해도 이는 다시 전체 가구 평균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평균적인 통신장비 비용은 낮을 수 있다는 것이다.
통계청의 한 관계자는 "이통사들이 스마트폰 비용이 100만원에 달한다고 주장하지만 약정할인제 등을 통해 할인을 받으면 실제 계산되는 장비 비용은 크게 낮아진다"며 "2ㆍ4분기 가계동향 조사에서 통신장비 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145%나 올랐는데 이 정도면 스마트폰 가입에 따른 통신장비 비용 상승도 통계에 충분히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통신비가 워낙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통계청도 장비 비용과 서비스 비용을 재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고 있다"며 "최근 논란은 높은 통신서비스 비용을 장비비용 상승으로 떠넘기려는 이동사들의 주장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