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 기업이 '증세 없는 복지'를 위한 최적의 수단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 계층을 고용하거나 이들에게 각종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수익을 추구하는 비영리조직과 영리기업의 중간 형태 조직이다.
25일 서울 중구 세브란스빌딩서 개최된 '2015년 제1차 사회적 기업 토론회' 참가자들은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 비용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복지를 확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대안이라고 입을 모았다. 정부 재정이 아닌 민간 자본을 동원하며 수익과 사회 서비스의 균형을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이 빈곤·환경 같은 사회 문제의 효율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사회복지 재정과 사회적 기업'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토론회는 사회적기업학회가 주최하고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SK그룹이 후원했다.
토론에 참석한 조영복 사회적기업학회장은 "무상 복지의 한계 때문에 증세를 통한 복지재원 조달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사회적 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복지재원 조달 문제를 해결할 길을 열 수 있다"고 말했다.
박태규 연세대 교수 역시 주제발표에서 "정부와 비영리단체 중심의 사회복지 서비스 공급은 한계에 다다를 것"이라며 "사회적 기업은 기업 경영으로 자체 재원을 조달해 복지 환경 변화에 대처할 수 있고 안정적 재정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발표에 나선 고경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에 사회적 기업이 늘고 있지만 아직 자생력이 부족하다며 "정부와 민간의 보다 다양한 지원을 통해 효율화를 촉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회적기업학회는 25일 토론회를 시작으로 오는 5월 '사회적 경제 통합학술대회' 등 사회적 기업 활성화를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