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상식으로 발생하기 어려운 사고와 발전설비 노후화에 대한 대비가 최근 원자력 발전의 가장 큰 이슈입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계통기준개발실장 김만웅(사진ㆍ48) 박사는 우리나라 전력생산의 40%를 담당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을 지키는 ‘파수꾼’이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규제하고 사전에 마련된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가동 중단 등의 조치를 취하는 규제기관이다. 하지만 원자력 기술의 특성상 서류나 이론상의 검토를 통해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단계부터 기술적인 검토를 통해 설계허가 및 운영허가를 내주기 때문에 석ㆍ박사급 연구원들이 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전국에 산재한 20기의 원자력발전소에는 원자력안전기술원의 연구원들이 파견돼 있어 발전소 가동에 따른 안전규제를 담당하고 있다. 김 박사는 “최근 원자력 안전규제는 기존의 ‘결정론적 안전성 분석’보다 한 차원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확률론적 안전성 분석’으로 변화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기존의 안전규제가 공학적인 측면에서 원자력발전소 시스템에 대한 비중이 컸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발전소 운영인력이 사전에 규정된 안전수칙을 모두 이행했다 하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 사고 가능성까지 사전에 차단하려는 ‘확률론적 안전성 분석’ 기술로 옮겨가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 방향은 원자력발전소의 노후화에 대비한 안전규제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고리1호가 지난 78년 4월 가동 이후 올해로 운전수명인 30년을 다했기 때문이다. 물론 고리1호기와 동일한 기종은 미국에서도 40년 운전으로 허용돼 있으며 국내에서도 설계수명이 40년은 충분할 것으로 보고 있어 현재 운전기간 연장에 대한 기술검토를 진행 중이다. 김 박사는 “국내에 도입된 원자로들은 대부분 40~50년의 설계수명을 갖고 있지만 운전기간 연장에 대한 분석과 향후 원자로를 폐쇄하는 단계에 대한 안전규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또 초기에 도입된 원자로들은 통제 시스템이 아날로그 형태로 구성돼 있으나 최근 이를 디지털로 업그레이드하는 추세에 따라 이에 대한 안전규제 연구도 진행 중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