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이번에 적발된 테마주 31개 외에 불공정거래 혐의가 있는 테마주들을 추가로 조사하고 있다. 총선이 한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치 테마주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개미 투자자들도 정치 테마주에 관심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측 관계자는 “이번에 적발된 종목은 바른손과 안철수연구소, EG 등 정치테마주들의 대장주들”이었다며 “시장에서 정치테마주로 분류되고 있는 소규모 종목에 대한 조사를 집중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치테마주 뿐만 아니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바이오 테마주에 대한 조사의 고삐를 죌 것으로 전망된다. SNS 테마주는 지난해 12월 헌법재판소가 SNS를 통한 선거운동에 대해 합법 판결을 내리면서 정치테마주의 광풍을 이어받은바 있으며 바이오 테마주도 지난해부터 증권업계의 투자 권유에 주가가 급등세를 이어갔다. 하은수 금융감독원 테마주특별조사반장은 “이번에 적발된 7명은 SNS주와 바이오주에 대해서도 불공정 거래를 한 혐의가 있다 ”며 “이들 테마주에 대한 추가 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책 테마주에 대한 단속도 강화할 방침이다. 최근 금융당국이 정치테마주에 대해 조사를집중한 사이 고용과 신공항건설ㆍ친환경자동차 관련 기업들이 정책 테마주로 묶이면서 주식 시장에서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실제로 취업고용업체인 사람인HR의 경우 상장 6일만에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금융감독원 테마주특별조사반 관계자는 “선거철을 맞아 정치 테마주를 비롯해 각종 테마주들이 형성되고 있다”며 “추가 작전세력을 적발해 증권선물위원회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한국거래소도 테마주의 과열 양상을 막기 위해 투자경고지정 종목에 대한 매매중지거래 요건을 대폭 완화했다. /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