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1호기가 우여곡절 끝에 계속운전이 허용되면서 앞으로 정부의 원전정책도 험로가 예상된다. 앞으로 당장 석 달 앞으로 다가온 고리 1호기의 2차 수명연장 결정부터 시작해 10년여간 계속운전 신청을 해야 하는 원전이 10곳이 넘는다.
27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오는 2029년까지 설계수명을 다하는 원전은 11곳에 이른다. 가깝게는 1차로 수명이 10년 연장된 고리 1호기에 대해 6월까지 두 번째 연장을 할지 전력당국이 결론을 내려야 한다. 고리 1호의 운전기한은 2017년이지만 설계수명을 재연장하려면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적어도 2년 전인 6월까지 원자력안전위원회에 계속운전 허가를 신청해야 한다. 월성 1호기와 같은 진통이 당장 발생할 수 있는 셈이다.
5년 후인 2020년으로 넘어가면 설계수명을 연장해야 하는 원전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수명이 2023년까지인 고리 2호기는 2021년까지 계속운전 또는 폐로를 결정해야 하고 고리 3호기는 2022년, 고리 4호기는 2023년까지 계속운전 여부를 결정지어야 한다. 이 밖에 영광 1호기가 2023년, 2호기는 2024년, 울진 1호기(2025년)와 2호기(2026년), 월성 2호기(2024년)·3호기(2025년)·4호기(2027년)도 순차적으로 계속운전 신청 시기를 맞는다. 월성 1호기의 진통이 가시지 않는다면 앞으로 10년 넘는 기간 동안 원전정책이 좌표를 잃을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월성 1호기의 재가동을 얼마나 안전하게 하느냐에 남은 원전의 계속운전 여부가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제무성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후쿠시마 사태의 교훈은 원전 운영은 절대 안전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월성 1호기가 안전상의 문제가 없으면 2·3·4호기도 기술적으로 안전하다는 방증이기 때문에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