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은행 M&A 대전 불붙어…금융시장 지각변동 불가피

‘금융 공룡’ 은행들의 파워구도가 새롭게 그려진다.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올 하반기 은행시장 재편이 정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KB금융지주와 산은지주·하나금융지주 외에도 해외자본들이 우리금융 민영화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은행권의 사활을 건 인수합병(M&A) 대전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민영화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외환은행 매각과 산은금융지주·기업은행 민영화 등이 맞물리면서 ‘금융권 재편’ 논의가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불투명한 민영화 방안…키포인트는 ‘시장논리’=우리금융 민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질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정부로서는 전략적 투자자에게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고 우리금융의 지배 지분을 파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매각가격이 7조~8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금융 지배 지분 ‘50%+1주’의 처리방향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민상기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 공동위원장은 “최대한 많은 투자자가 입찰에 참여하도록 우리금융 민영화 방식에 지분 매각과 합병을 모두 포함했다”며 “다만 민간의 책임경영이 가능한 방안을 우선 고려해 매각을 추진하되 공개 경쟁입찰인 만큼 지분 매입 규모가 크고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곳이 우선 고려될 것”이라고 말했다. 매수 희망자들이 투자제안서에 어떤 방식으로 사겠다는 의견을 담으면 이를 바탕으로 가장 유리한 곳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하겠다는 것이다. 결국 시장에서 원하는 방식과 가격대로 매각해야 공적자금을 최대한 회수할 수 있다는 의도다. 아울러 매각 대상과 자격을 미리 제한할 경우 특혜 시비 논란도 제기될 수 있어 이를 피해가겠다는 고민도 담겨 있다. ◇네 가지 매각 방안 부각…선택 여부는 미지수=우리금융 민영화 방안 중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은 ▦지분 일괄매각 ▦합병 ▦계열사 분리매각 ▦지분 분할매각 등 네 가지다. 지분 일괄매각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 57% 가운데 28.5%+1주 이상을 매각하는 것으로 공적자금 회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28.5% 이상을 인수하더라도 3조5,000억원 이상의 현금이 필요해 선뜻 나설 후보자를 찾기가 어렵다. ‘연기금과 일부 금융회사, 사모투자펀드(PEF)들이 참여해 특수목적회사(SPC)를 설립, 우리금융 지분을 소유하는 방식’도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M&A계의 한 전문가는 “국민연금과 대기업 등 등이 참여해 PEF를 구성한 후 50%+1주를 매입하되 대기업 지분율은 18% 이내에서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수 있다”며 “다만 경영권을 확보할 수 없어 투자자 모집이 어려울 수 있고 국민연금이 참여하면 공적자금이 재투입되기 때문에 정부가 선택하기 어려운 카드”라고 설명했다. 금융지주회사 간 주식 맞교환에 의한 합병안도 또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방법은 인수할 때 자금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인수 희망자 입장에서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은행독과점 문제와 공적자금 회수가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M&A 대전 점화…금융권 재편 본격화=우리금융이 어떤 방식으로 민영화되더라도 금융권의 지각변동은 불가피해졌다. 일단 우리금융 인수에는 하나금융이 가장 적극적이다. 하나금융의 한 관계자는 “매각방식에 따른 효과 등을 분석하고 전략을 수립해 대응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민영화 윤곽이 드러나지 않아 앞으로의 상황을 살펴보고 내부 논의 등을 거쳐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겠다”고 언급했다. KB금융도 우리금융 인수 후보로 꼽힌다. 어윤대 KB금융 회장이 최근 M&A에 대해 한발 물러서는 태도를 보였지만 금융권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우리금융이 매물로 나오는 만큼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크다. 금융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KB금융은 은행 비중이 90%에 달하기 때문에 이 비중을 줄이고 비은행 부문을 육성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KB투자증권 자산의 10배에 이르는 우리투자증권을 선택하기 위해서라도 우리금융 인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산업은행도 1,000개 이상의 영업점을 앞세워 막강한 전투력을 자랑하는 시중은행을 대적하기에는 어렵다고 보고 은행 M&A에 적극 나설 태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민영화를 앞둔 산은지주의 경우 정부의 부정적인 시각이 약점이다. 한편 금융권에서는 ‘KB-외환’ ‘우리-하나’ ‘기업-우체국금융’ ‘산업-외환’ 등 다양한 합종연횡 구도를 그리고 있다. 다만 이 같은 시나리오는 백지상태에 불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