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생산가능인구(15~64세) 가운데 최고령층인 55~64세(1948~1957년생)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63.7%로 지난 200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이들은 한국전쟁 전후에 태어나 1970~1980년대 산업 역군으로 일해오던 50대와 60대에 걸쳐 있는 고령자들이다. 일부 베이비붐 세대(1955~1964년생)도 포함돼 있다.
이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59.5%를 기록한 후 59~60%대에 머물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62.0%로 오른 뒤 4년 만에 63%대로 뛰어올랐다.
이들 고령인구가 전체 생산가능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0년 10.6%에서 지난해에는 15.0%로 4.4%포인트나 증가했다.
퇴직이 임박했거나 은퇴한 연령인데도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벌이면서 생활 전선에서 여전히 떠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연령대별로는 50대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2000년 68.7%에서 지난해 73.1%로 상승했다. 50대 여성은 2008년부터 더욱 생활 전선으로 내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에서 근로자의 평균 연령도 2000년 36.2세에서 2010년에는 39.0세로 높아졌다. 이들 고령자 중 상당수가 도소매업이나 음식업 창업을 통한 자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들이 일자리의 질(質)을 가리지 않고 활발한 경제활동을 나서는 것은 무엇보다 노후 준비가 부족한데다 청년실업과 결혼연령 상승 등으로 자녀 부양 부담이 적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