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노조 지부 은행 노조들은 이날 총파업 참가지침을 조합원들에게 전달했다.
파업 전야의 풍경은 은행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파업동력이 약한 은행의 경우 총 파업을 진행하되 지점의 정상영업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신한은행·씨티은행 등은 노조 소속 분회장만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은 영업점의 경우 분회장을 비롯한 1~2명, 본점 부서는 조합원의 최대 절반가량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우리은행 노조는 공고문을 통해 "일선 영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수준에서 파업참가 범위를 정했다"고 밝혀 파행운영은 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한은행·농협은행 등 나머지 은행들도 금융노조 파업과 관련한 현안이 거의 없어 인력동원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파업참여자가 많더라도 대체인력이 충분하다"면서 "그러나 현재 상황으로는 대체인력이 필요할 일이 생기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씨티은행 관계자는 "파업이 커질 것 같으면 파업참여 인원을 조사하는 등의 대비책이 나와야 하는데 아직 그런 것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별건 이슈를 갖고 있는 은행들의 사정은 다르다.
정부의 금융공기업 정상화 추진대책과 관련해 복지축소가 예고된 기업은행의 경우 노조가 강경투쟁의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사측은 노조와의 대화를 통해 고객불편을 초래하는 파행운영은 반드시 막아내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노조는 양측 간 생각의 간극이 크다고 보고 있다.
홍완엽 기업은행 노조위원장은 "총 파업과 관련해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조합원들을 최대한 독려해 강경투쟁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하나은행과의 조기통합 이슈를 안고 있는 외환은행의 사정은 좀 더 다급하다. 외환은행 노조는 3일 임시 조합원총회를 열어 조기통합 찬반투표 등을 의결한다.
은행 측은 조합원들의 참여가 거셀 경우 일부 지점의 영업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인력 누수에 따른 영업 차질을 대비하기 위한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노조가 계속해서 강경하게 나온다면 최악의 상황을 감안해 일부 점포는 문을 닫고 거점점포로 이동시키는 등의 대책을 강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은 총 파업에 대비한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가동시켰다. 감독원은 고객들에게는 자동화기기(ATM)와 인터넷뱅킹을 사용해줄 것을 당부했고 각 은행들에는 전화문의가 폭주할 것을 대비하기를 권고했다. 금감원은 이번 총파업에 18개 시중은행과 2개 신용카드사 등 37개 기관의 조합원 1만3,000~1만5,000명이 참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