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31일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어 기재부와 산업통상자원부·금융위원회·한국은행·금융감독원 등 관계부처 합동의 위안화 거래활성화 방안을 논의, 확정했다.
정부는 오는 12월 중 원·위안화 은행 간 직거래시장을 개설하고 원·달러 시장과 동일한 수준에서 전자중개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시중은행 가운데 10여곳을 시범 거래 은행인 시장조성자로 지정해 원·위안화의 가격형성을 주도하고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도록 할 계획이다.
정부는 한중 간 교역 중 양국의 종착지인 무역거래가 약 50% 수준이라는 점에서 이중 절반 수준을 위안화 결제로 유도할 방침이다.
현재 1,200억위안 수준인 위안화 표시 금융자산 규모를 중장기적으로 홍콩과 대만에 이어 세 번째로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위안화 표시 외평채도 준비자산 통화로서의 위안화 국제화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발행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는 달러화(1998년), 유로화(2005년) 표시 채권에 이어 세 번째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국내 무역과 금융거래의 대부분이 달러화로 이뤄지는데 외부 충격에 따른 변동폭이 너무 크다"며 "위안화 등 다른 통화를 보유하게 되면 외화 포트폴리오가 다양해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