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주식투자 이젠 생활이다] <6> 맞춤형 상품시대 온다

자통법 시행땐 종류 '무제한' 선택 '무한대'<br>투자성향등 입맛 맞춰 상품 주문 가능할듯<br>지금도 ELF등 파생상품 하루 수십개 쏟아져<br>최근엔 해외지수·실물자산 기초 상품도 출시<br>랩어카운트도 문턱 낮아지는등 '진화' 거듭




지난해 말 펀드에 가입하기 위해 증권사를 찾은 회사원 김모(38)씨는 증권사의 다양한 상품구색에 깜짝 놀랐다. 주식형이나 채권형 가운데 적당한 상품을 하나 고르면 되겠지 하는 생각이었지만 증권사 직원들이 펼쳐놓은 투자 보따리에 살만한 상품이 너무 많아 행복한 고민을 해야 했다. 그가 자신의 투자성향과 소득 등을 감안해 고심 끝에 고른 상품은 주가연계펀드(ELF). 그는 수익률이 나날이 불어나고 있는 이 상품을 선택한 것에 만족, 또 다른 상품 가입을 고려하고 있다. 최근 들어 김씨와 같이 행복한 고민을 하는 고객들이 늘고 있다. 고객자산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모든 금융회사들이 펀드와 종합자산관리계좌(CMA)는 기본이고 각종 ELF, 주가연계증권(ELS), 주식워런트증권(ELW) 등 파생상품, 랩어카운트 등 새로운 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여기에 국회를 통과한 자본시장통합법(자통법)이 오는 2009년 시행되면 상품은 거의 무한대로 늘어난다. 바야흐로 투자자가 원하는 상품은 무엇이든 살 수 있는 ‘맞춤형 상품 시대’가 열린 것이다. ◇고르는 재미가 있다= 그냥 펀드나 들 생각으로 증권사 지점을 방문한 투자자라면 다양한 투자상품에 놀란다. 펀드의 종류만 해도 인덱스, 에너지, 가치주, 지주사, 멀티클래스 등으로 엄청난데다 ELS, ELF, ELW 같은 주식파생 상품은 하루에도 수 십개씩 쏟아지고 있다. 여기에 랩어카운트, 자산관리 상담 등 증권사만의 특징적인 서비스까지 있어 어떤 투자상품을 선택할지 고민에 빠지기 마련이다. 증권사 최고 인기 상품인 CMA는 월급통장 마케팅이 실효를 거두면서 은행권 자금을 빠르게 흡수하고 있다. 증권사의 CMA 잔액은 7월 말 21조1,000억원으로 증가, 지난해말 8조6,000억원에 비해 140% 이상 증가했다. 특히 최근에는 콜금리 인상으로 증권업계와 은행간, 또 증권사들간의 유치 경쟁이 거세지면서 금리도 5%대로 올라가고 있다. 펀드도 종류와 수가 워낙 많아지자 고객의 선택을 기다리는 수준을 넘어 유망 펀드를 추천해주는 서비스도 나왔다. 우리투자증권은 펀드 홍수 속에 고민하는 투자자를 위해 분기별로 섹터별 유망펀드만을 엄선한 ‘베스트컬렉션펀드’를 발표한다. 대우증권은 새로운 투자 트렌드를 발굴, 우량 상품을 제시하는 ‘메가트렌드’를 내놓고 있다. 삼성증권도 매월 자산배분 전략을 소개하고 유망상품을 발표하고 추천한다. 부자의 전유물로 여겼던 랩어카운트는 문턱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주식, 채권, 파생상품까지 하나의 개인별 계좌를 통해 관리해주는 랩어카운트는 지난 2003년 등장해 최근 7조원 규모로 시장이 급성장했다. 가입 한도도 낮아지고 있다. 삼성증권의 아너스랩 표준형은 최소 1억원이 있어야 하지만 대우증권 공격형 투자형은 최소 100만원, 동양 월드드림랩은 적립식으로 10만원이면 가능하다. 기헌 대우증권 고객자산운용부장은 “랩은 부자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부자가 되길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한국형 자산관리 서비스”라고 밝혔다. ◇자통법 시대, 파생 상품 무한대로 진화= 파생금융상품의 진화 속도가 빠르다. 삼성전자, 포스코 등 개별 상품을 기초로 한 상품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해외지수나 실물 자산을 기초자산으로 삼는 상품까지 출시되고 있다. 또 소비자 취향에 맞춰 원금 보장성이 낮은 대신 기대 수익률을 높인 상품, 기대 수익률을 낮춘 대신 원금 보장을 대폭 강화 하는 등 더욱 다양화됐다. 디지털ELW, 섹터ET F등 신상품도 쏟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파생 상품인 ELS시장은 지난해 22조원 규모에서 올해 30조원으로 급팽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5월까지 발행된 ELS는 11조9,000억원에 이른다. 기초자산도 다양화하고 있다. ‘코스피200’ 등 주가지수뿐만 아니라 닛케이225 등 해외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편입하거나 리츠(REITs) 지수, 미 서부텍사스중질유(WTI) 선물지수, 런던 금가격 선물지수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까지 나왔다. ELW 시장의 성장도 폭발적이다. 지난 2005년 12월 72개에 불과했던 상장종목은 올해 2,146개로 30배 가까이 증가했고 일 평균 거래대금은 지난 7월 현재 3,343억원으로 유가증권 시장 대비 4.5%에 이른다. 앞으로는 파생상품 개발 경쟁이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부터는 파생 상품의 기초자산에 대한 제한이 없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상품이 개발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증권사가 만들어 주는 ‘맞춤형 상품 시대’도 열리게 된다. 김형태 증권연구원 부원장은 “자통법이 시행되면 증권사가 다양한 금융상품을 개발할 수 있게 되고 투자자의 선택권은 그만큼 넓어지게 된다”고 말했다. 고객이 자신의 입맛에 맞는 상품을 고르는 일만 남은 것이다. 내년부터 투자자 보호 강화 피해·분쟁도 크게 줄어들듯 위험 안알리고 투자권유해 손실땐 금융사 책임
대규모 손해배상 따른 퇴출 금융사 나올수도
금융회사들이 하루가 멀다 하고 다양한 영역을 결합한 새로운 금융상품을 쏟아내는 것은 고객을 유혹, 더 많은 투자자들을 유치하는 게 목적이다. 하지만 복잡한 상품이 나옴에 따라 소비자들을 혼란하게 만들어 분쟁을 일으키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분쟁도 내년부터는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내년 2월부터 투자자 보호를 위한 강력한 조치가 시행돼 금융회사들이 소비자들의 혼란을 최소화시키는 의무가 강화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금융회사가 금융상품을 판매할 때는 상품에 대한 설명을 반드시 해야 한다. 투자상품을 판매할 때는 상품의 내용은 물론이고 위험성 등을 투자자에게 충분히 설명하도록 하는 ‘설명의무제도’가 도입된다. 현재 이 제도는 펀드나 선물 등 일부에서만 적용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주식 등 직접투자상품까지 확대된다. 결국 주식투자 고객에게 투자상품의 위험을 충분히 알리지 않은 채 투자를 권유해 고객이 손실을 보면 금융투자 회사측이 손해배상책임을 져야 한다. 금융회사가 손해 배상을 피하려면 고객으로부터 설명이해 서명 등 기록을 철저히 남기게 되지만 서명만 받았다고 해서 손해배상 책임이 면제되는 것도 아니다. 분쟁이 발생할 경우 정말 투자자에게 충분한 설명을 제공했는지, 손실여부가 투자자에 책임이 있는지 여부를 증명하는 것 자체도 이제부터는 금융회사의 몫이 된다. 금융상품 가입 계약이후 7일이내에는 투자자들이 자유롭게 해지할 수 있는 ‘계약해지(Cooling-Off) 제도’도 새로 도입된다. 또 투자자에게 금융상품을 권유하기 이전에 반드시 면담 등을 통해 투자목적, 투자경험 등 특성을 파악하도록 하는 이른바 ‘고객특성파악(Know-your-customer)제도’도 의무적으로 시행된다. 아울러 투자자의 특성에 적합하게 투자 권유를 하도록 하는 ‘적합성 원칙’ 도 도입, 장외파생상품과 같이 위험이 큰 금융투자상품을 무분별하게 권유하지 못하게 된다. 동시에 투자자로부터 요청을 받지 않고 방문ㆍ전화 등을 통해 투자권유를 하는 행위 등도 앞으로는 금지된다. 금융회사들로서는 생존을 위해 소비자들의 권리를 철저히 존중해야 할 시대가 온 것이다. 박중민 증권업협회 법규업무실 실장은 “자통법 시행으로 투자자 보호규정이 강화되면 앞으로 대규모 손해배상으로 시장에서 퇴출되는 금융회사들이 나올 수도 있다”며 “이로 인해 주요 금융사들이 내부통제시스템을 마련하는 한편 직원들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등 준비에 여념이 없다”고 말했다. 피해구제 신청 어떻게 해당 금융사나 금감원 통해 접수…분쟁조정 절차 거쳐 합의점 모색 금융회사 직원의 묻지마식 투자권유로 손해를 보았을 경우 어디를 찾아 억울함을 해소해야 할까. 우선 해당 금융기관의 민원처리부서에 ‘불완전판매’에 대한 민원을 제기할 수 있다. 해당사는 민원을 접수하면 1차적으로 콜센터와 금융상품사업팀 등을 통해 합의점을 모색한다. 여기서 해결이 되지 않으면 컴플라이언스팀이 직접 나서 분쟁 조정에 나선다. 금융감독원을 직접 통할 수도 있다. 투자자는 금융감독원 산하 민원처리부서(국번없이 1332)에 직접 민원을 제기, 접수시킨다. 14일 간의 자율조정기간을 거치고 이후에도 분쟁이 해결되지 않으면 금융감독원에서 직접 민원해결 절차를 밟게 된다. 최봉환 자산운용협회 전무는 “불완전판매로 인해 손해를 보았을 경우 구제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많다”면서 “조금만 신경 쓰면 혼자 속 썩지 않고 분쟁조정기구를 통해 원만히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