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인, 특히 청소년들 중에는 휴대폰ㆍ자동차 등 대부분의 제품을 삼성전자ㆍ현대자동차 등 대기업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다 만드는 줄 아는 사람이 많아요. 그 속에는 수많은 부품이 들어가고 이를 중소기업이 만든다는 점을 중소기업 스스로 적극 알려야만 청소년들도 중소기업을 자신의 진로로 설정할 수 있을 겁니다."
김세종(53ㆍ사진) 중소기업연구원 연구본부장은 22일 "중소기업 바로 알리기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려면 중소기업 스스로 적극성을 내비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중소기업 알리기의 참여여건이 녹록지 않다고 호소하는 업체들이 많지만 결국 관심과 의지의 문제라는 것이다. 또 그 전에 근로자에게 합당한 급여ㆍ복지체계부터 갖춰주는 것이 우선돼야만 중소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해소될 수 있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그는 "중소기업들이 인식개선사업 참여가 어렵다고 말하는데 사실 상당수가 관심이 없어서 나오는 얘기"라며 "특성화고 청소년 재능기부 등 사실상 큰 부담이 없는 정부 사업에 대해서도 많은 기업체 대표들이 참여를 꺼린다"고 밝혔다. 또 "무엇보다 중소기업 근로자도 괜찮은 급여와 복지 속에서 일한다는 인식이 확산돼야 하는데 앞에서는 어렵다고 정부 지원을 받으면서 정작 근로자의 삶이 악화되면 인식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근로자에 대한 1차 책임은 사업주가 지는 만큼 근로자에 대한 투자를 생산성 확대 측면에서 생각해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이를 적극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적 책임(CSR)과 관련해서는 금전적 부담이 없고 쉽게 할 수 있는 것부터 단계적으로 참여를 유도해야 중소기업도 관심을 높일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대상 교육을 강화하고 우수사례를 적극 전파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본부장은 "독일의 히든챔피언도 지역경제에 공헌도가 크다는 점에서 주목 받은 것인데 국내 중소기업들 상당수는 아직도 사회공헌이라고 하면 돈이 들고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언론ㆍ정부ㆍ지원기관이 삼위일체가 돼 교육을 강화하고 사례를 전파해 중소기업 스스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중소업계가 요구하는 정부의 중소기업 인식개선 사업 컨트롤타워 역할과 사회공헌 우수기업 인센티브 제도 도입 등에 대해서는 다소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지나치게 정부 주도로 갈 경우 기업의 자발성 측면에서 오해를 살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그보다는 중소기업중앙회 등 민간이 주도해 먼저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한 뒤 정부가 후지원하는 형태로 가는 게 적절하다는 지적이다.
그는 "총리실 등 정부 최상위기관에서 중소기업 바로 알리기 같은 사업까지 담당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고 처음부터 정부가 세금감면 등 인센티브를 줄 경우 기업 자발성 면에서 오해를 살 소지가 있다"며 "업체들이 중소기업 인식개선 문제를 개별기업이 아닌 중소기업계 전체의 문제로 파악하고 단합해야 하기 때문에 분명 컨트롤타워가 필요하기는 하나 주체는 관이 아닌 민간기관이 되는 편이 일단 낫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김 본부장은 "중소기업 이미지 개선사업은 사회공헌 같은 단기사업, 청소년 진로교육 같은 장기사업 등으로 나눠 이제는 정말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행복한 중기씨' 같은 캠페인이 반짝사업으로 그치지 않으려면 중소기업들이 지금보다 훨씬 더 적극성을 띠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