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휴대전화 서비스 20돌] 富의 상징서 생활필수품으로 88년 아나로그 방식 첫선… 단말기값만 400만원세계 첫 CDMA·DMB상용화등 이통강국 급성장 이규진 기자 sky@sed.co.kr 우리나라 휴대전화가 1일로 서비스 개시 20주년을 맞아 성년이 됐다. SK텔레콤의 전신인 한국이동통신이 아나로그 방식의 이동전화 서비스를 처음 시작한 날이 바로 지난 88년 7월1일. 84년 ‘카폰’으로 불리는 차량용 서비스로 시작된 이동전화는 88년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휴대전화 대중화의 첫발을 내딛었다. 서비스 첫해인 88년 휴대전화 가입대수는 겨우 784대. 서비스 초기 휴대전화 가격은 400만원 가량으로 당시 현대 포니엑셀 자동차 한대가 500만원인 것을 감안할 때 과거 휴대전화는 ‘부의 상징’이었다. 통화료도 꽤 비쌌다. 기본료는 월 27,000원, 통화료는 시내및 시외 50Km까지 10초당 25원, 설치비는 65만원이었다. 서울-부산간 3분 통화를 기준으로 볼 때 현재보다 36배(물가상승 감안)나 비싼 수준이다. 부유층의 전유물처럼 여겨지던 휴대전화는 90년 전국 단일요금제 적용에 이어 96년과 97년 각각 신세기통신과 PCS 3사의 등장으로 통화료 등이 저렴해지면서 가입자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올 5월말 현재 가입대수는 44,73만8,000대로 인구대비 92.2%의 보급률로 ‘1인 1휴대폰’ 시대가 됐다. 이 기간동안 국내 정보통신산업의 성장률은 연평균 18% 이상 기록하며 산업규모도 2006년 248조원 규모로 비약적으로 커졌다. IT산업의 경상GDP 비중도 무려 29%로 국내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오고 있다. 휴대전화 수출 규모도 수출 첫해인 96년 불과 47만달러에서 지난해 186억달러로 무려 3만9,000배 이상 늘어 단일 규모로는 국내 최대의 수출 품목으로 성장했다. 질적 성장도 괄목할만하다. 서비스 초기에는 미국 AT&T사가 1978년 세계 최초로 운용에 성공한 아나로그(AMPS: 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방식을 사용했다. 하지만 한국은 96년 CDMA 세계 첫 상용화에 이어 세계 최초 DMB방송을 실시하는 등 독자 기술 확보에 성공, 3세대 이동통신 강국으로 급부상했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의 보급은 시스템ㆍ단말기ㆍ콘텐츠 등 유관산업에 전후방 효과를 나타내면서 IT산업을 이끌었다. 현재 전세계 이동전화기 시장의 27%를 한국 제조업체가 점유할 정도로 세계적인 휴대전화 강국으로 우뚝선 게 대표적인 예다. 김신배 SK텔레콤 사장은 “성년을 맞이한 대한민국의 휴대전화는 이제 단순한 통화수단이 아니라 모든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이 됐다”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