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금융 전문가들은 '유럽 국가채무위기'를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최대 변수로 꼽았다.
한국은행은 19일 은행이나 비은행, 주식ㆍ채권시장 등에 몸담은 금융 전문가 74명을 상대로 최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설문에는 은행 관계자 22명, 비은행 관계자 17명, 펀드매니저ㆍ외환딜러 35명 등 총 74명이 참가했다. 한은이 시장 참가자들을 직접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핵심위험을 묻는 항목에 75.5%(복수응답 허용)가 '유럽 국가채무위기'라고 답했다. 이어 '가계부채(67.6%)' '중국 등 신흥국 경제 성장속도 저하(55.4%)' '정치 및 지정학적 리스크(50.0%)' 순으로 나타났다.
같은 질문 1순위 응답만 봤을 때는 '유럽 국가채무위기'가 44.6%로 나타났고 다음이 '가계부채(21.6%)' '외국자본의 급격한 유출(9.5%)'이 뒤를 이었다.
개별 금융기관이 대응하기 어려운 위험으로는 은행ㆍ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유럽 국가채무위기를, 비은행금융기관 전문가들은 가계부채를 꼽았다.
1년 이내에 시스템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에는 '높음'이 32.4%, '보통'이 35.1%, '낮음'이 32.4%로 균등하게 나왔다.
중기(1~3년) 이내 시스템 위기 발생 가능성은 '높다'는 답이 31.0%로 '낮다' 27.1%에 비해 많았다. 특히 비은행 전문가의 52.9%가 은행(27.3%), 금융시장전문가(22.9%)보다 발생 가능성을 크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