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영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3일 '노후 대비 부족한 고령층 소비할 여력이 없다'는 이름의 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이후 고령층의 소비성향(가처분소득 중 지출의 비중)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세대 간 소비성향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경제학적으로 청장년층은 소비가 적고 고령층은 소비가 많다. 젊을 때 돈을 벌어 자산을 모은 뒤 노후에 이를 쓰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8년 이후 한국의 60대와 70대는 각각 소비성향이 5.9%포인트, 6.8%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40~50대의 소비성향은 약 2%포인트씩 하락하는 데 그쳤다. 39세 이하는 1.6%포인트 올랐다.
이 때문에 2000년대 초반 '60세 이상>50대>40대>39세 이하' 순이었던 소비성향은 지난해 '40대>39세 이하>60대 이상>50대'로 정반대가 됐다. 고령층일수록 소비를 갈수록 줄이는 기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고 연구원은 "2000년대 이후 경제ㆍ사회적 환경이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며 고령층은 미처 변화에 대비하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그가 예를 든 경제·사회적 변화는 1990년대 이후 빠르게 늘어난 자녀 교육비다. 1991년 33.2%였던 대학진학률은 2008년 83.8%까지 높아졌다.
고령층이 대응하지 못한 또 다른 변화는 부동산 불패신화의 종언이다. 실제로 60대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은 2006년 2억7,000만원에서 2012년 2억원으로 7,000만원 감소했다.
고 연구원은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은퇴 이후 소비에 필요한 자산이 더 많이 필요해진 점과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로 노후자산의 실질가치(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가치)가 절하된 점 역시 고령층의 소비성향을 떨어뜨렸다고 평가했다.
고 연구위원은 "고령층의 미래 삶을 훼손하지 않고 소비성향을 높이려면 고령층이 일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하다"며 "고령층 근로 확대는 노후 부담을 줄이고 동시에 공적연금, 노인복지 수요를 감소시켜 재정부담 절감, 성장률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