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은 1ㆍ4분기(20.3% 상승)에 이어 호조를 이어갔지만 증가 폭은 크게 둔화했다.
내수는 고유가와 국내외 경기 불안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신차 부재, 대기수요 증가 등에 영향을 받아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감소세는 완화됐다. 작년 동기 대비 올해 1ㆍ4분기의 증감률은 - 7.2%였고, 3월도 - 8.9%였다. 그러나 5월부터 본격적으로 판매될 신형 싼타페와 K9 등을 고려하면 내수판매는 작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지경부는 기대했다.
이에 따라 4월 생산은 선거공휴일로 인한 조업일수 축소에도 불구하고 수출 호조를 바탕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 증가한 39만6,184대를 기록했다.
현대차(16만8,144대)와 기아차(13만7,565대)의 생산은 안정적인 수출을 바탕으로 각각 1.9%와 7.3% 늘어났다. 한국GM(6만7,537대)과 쌍용차(1만93대)는 전반적인 수출 부진 등으로 각각 8.0%와 1.9% 감소했고, 르노삼성(1만1,682대)은 내수 부진으로 무려 32.1% 줄어들었다.
지난달 수입차 점유율은 배기량이 낮은 2,000 cc이하급 다양한 모델들이 판매 호조를 보이며 3월의 8.1%보다 0.2%포인트 늘어난 8.3%를 나타냈다. 작년 12월 5.7%에 불과했던 수입차 점유율은 올해 1월 8.9%로 치솟았다가 2월 7.5%로 하락한 뒤 3월에는 반등한 바 있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