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공개한 '삼성전자의 조사방해 사건'과 관련해 일각에서 뒷말이 나오고 있다. 특히 경제계에서는 지난해 3월 발생해 이미 알려진 사건을 총선을 앞둔 시점에 재탕 식으로 터뜨린 점에 대해 석연하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공정위 조사 방해는 지난해 3월 있었던 내용으로 공정위는 이미 자신들이 직접 촬영한 화면을 방송사에 제보해 삼성을 압박했다"며 "또 2차 조사 과정서 확보한 폐쇄회로(CC)TV 화면을 1년 가까이 보유하고 있다가 과징금 부과와 함께 방송사에 제공한 것은 선거를 의식한 계산이 깔려 있다"고 지적했다. 조사 방해 건에 대해 방송사에 두 번씩이나 제보하는 것이 '공정한 행위'는 아니라는 지적이다.
또 일각에서는 삼성전자를 앞세워 대기업을 길들이겠다는 의지가 깔려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재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코에 걸면 코걸이 식으로 조사한 뒤 벌금을 매기는 상황에서 과연 얼마나 많은 기업이 조사에 순순히 응할 수 있겠느냐"며 "더욱이 CCTV 화면까지 공개한 것은 다른 대기업들에도 보이지 않은 압력을 행사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