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거래소의 지분율을 살펴보면 증권사와 선물회사들은 거래소 지분의 88%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는 거래소 자기주식(4.62%)과 중소기업진흥공단(3.03%), 한국증권금융(2.12%), 금융투자협회(2.05%) 등 증권 유관단체들이 갖고 있다.
증권 업계에서는 거래소가 상장하면 거래소 지분을 보유한 증권사들마다 평균 1,000억원 안팎의 자금을 현금화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거래소의 총자본금은 1,000억원이지만 현재 주당 가치가 13만~14만원으로 평가받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거래소의 현재 가치는 3조원에 육박한다.
특히 자금여력이 좋지 않은 중소형 증권사일수록 더 큰 수혜가 예상된다. 최소 1,000억원가량으로 예상되는 상장차익이 유입되면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거래소 지분가치와 시가총액의 차이가 크지 않은 증권사의 경우 거래소 상장이 대주주의 청산 욕구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 인수합병(M&A)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유승창 KB투자증권 연구원은 "거래소가 상장을 통해 수익성과 기업가치가 높아지면 증권사들의 지분가치도 추가로 상승할 것"이라며 "중소형 증권사들에 더 큰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금융위는 그동안 거래소가 독점으로 상장차익 일부가 누적된 만큼 상장차익 전부를 기존 주주들이 가져가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별도의 논의기구를 만들어 상장 차익의 환수 규모와 공익재단 설립 등 활용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거래소는 지난 2007년 IPO 추진 당시에도 상장차익의 일부인 3,700억원을 공익기금으로 조성해 자본시장발전재단을 설립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상장차익에 대한 환수 규모에 따라 증권사들이 실제 손에 거머쥐는 자금의 액수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