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투자자들이 수익은 16% 이상의 고수익률을 원하면서 위험은 -5% 이하만 감당하겠다는 이율 배반적 투자 마인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주식시장이 약세로 돌아서 손실이 날 경우 대규모 환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판매사들이 투자자를 위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국민은행연구소가 지난 10월 서울 및 수도권과 6대 광역시에서 1개 이상 펀드에 가입한 25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대수익률이 연 21~30%라고 응답한 경우가 30.2%로 가장 많았고 16~20%는 26.5%, 31% 이상은 17.9%로 가입자의 75%가 16% 이상의 고수익을 기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반면 감내할 수 있는 원금손실률을 묻는 질문에는 -1~-5%가 35.8%로 가장 많았고 ‘원금손실은 절대 안된다’는 응답도 34.7%나 되는 등 -5% 이하의 손실만 괜찮다는 펀드 투자자가 전체의 70%를 넘었다. 투자자들이 펀드에 가입하면서 ‘위험 없이 고수익이 가능하다’고 오해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응답자 중 58.6%는 주식형, 25.1%는 혼합형에 가입하는 등 손실 가능성이 높은 펀드를 선택한 고객이 90%를 넘었다. 채권형(4.6%)ㆍMMF(1.1%) 등 원금보장이 가능한 투자자산을 선택한 고객은 5.7%에 불과했고 심지어 ‘어떤 유형인지도 모른다’는 고객이 7.2%나 됐다. 한 펀드평가회사 임원은 “은행을 찾은 고객을 상대로 설문을 했기 때문에 낮은 위험, 고수익을 원하는 결과가 나왔다”며 “펀드 가입자들이 ‘위험 없이 고수익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펀드 상품에 대한 투자자 교육이 미진하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평가했다. 한 자산운용사 임원은 “고수익 저위험 투자자가 많으면 펀드가 손실이 났을 때 패닉 현상과 함께 대규모 환매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럴 경우 판매사인 은행의 신뢰도가 땅에 떨어질 수 있는 만큼 투자자 교육에 좀더 많은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설문 결과에도 투자자들의 펀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28개 펀드 용어 중 평균 9.2개를 이해하고 있었고 5개 이하라고 응답한 경우도 전체의 40%나 됐다. 또 투자자들이 아는 용어는 주식형ㆍ채권형ㆍ혼합형ㆍ평가금액 등 기초적인 것에 불과했고 비교지수나 투자위험등급 등 위험을 나타내는 용어에 대해서는 ‘처음 들어본다’는 응답이 40%에 육박했다. 가입자들은 펀드를 가입할 때 은행원의 권유에 따르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51.9%는 은행 직원과의 상담 결과에 따라 펀드를 선택했고 16.1%는 다른 금융거래를 목적으로 왔다가 직원의 권유로 가입했다고 답했다. 17.4%는 다른 펀드를 생각하고 왔다가 직원 권유로 바꾸는 등 가입자의 85.4%가 은행원의 말을 듣고 펀드에 가입한 셈이다. 펀드를 환매할 때도 목표 수익률에 도달한 경우가 33.3%, 다른 펀드 가입이 23.4%, 직원의 권유가 1.6% 등으로 나타났다. 펀드 관련 정보도 금융기관 직원을 통해 얻는다는 응답이 72.2%로 가장 많았다. 펀드 상품을 가입할 때는 대부분(94.2%)이 펀드 수익률을 중요한 고려 수단으로 꼽았고 투자위험ㆍ안정성 등은 66.8%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하지만 비교지수와 비교펀드성과(8.4%) 또는 펀드운용회사ㆍ펀드매니저(5.3%), 펀드 평가등급(3.0%) 등을 살피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한편 가입자들은 평균 1.4개의 펀드를 보유하고 있고 평균 약 1,061만원을 투자하고 있었다. 거치식 펀드는 계좌당 평균 약 1,845만원, 적립식은 월 평균 29만원씩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객들은 평균 13.8분을 기다린 후 23.6분 동안 상담 후 펀드에 가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 펀드평가사 관계자는 “현재 펀드 투자자들은 개구리처럼 생긴 올챙이, 꼬리 달리 개구리 수준”이라며 “펀드는 10년 이상 장기로 위험자산에 분산 투자해 안정적인 고수익을 기대하는 고위험 상품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