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가 사실상 제4이동통신사업 포기의사를 밝힘에 따라 중기 컨소시엄의 향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중앙회는 직접 출자는 하지 않는 대신 컨소시엄의 측면 지원은 계속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선장이 없는 배가 제대로 항해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특히 이통사업에 대한 중소업계의 의욕은 컸지만 역시 판이 짜여진 통신시장에서 후발주자의 진입이 녹록지 않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입증된 셈이다. ◇중기중앙회 왜 발 빼나=중기중앙회가 이통사업을 포기한 결정적 이유는 자금마련의 어려움과 중소기업청의 반대 때문으로 보인다. 중앙회는 제4이통사에 직접 출자 1,000억원, 중소업계 단체 1,000억원 등을 통해 약 30%의 지분을 확보, 최대주주의 자리를 계획했었다. 당초 중앙회는 6,000억원 규모의 노란우산공제기금에서 대여하면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지만 중기청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장 자금조달에 차질을 빚게 된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중기청 내부에서는 중앙회의 이통사업 출자를 절대 용인해줄 수 없다는 분위기가 팽배했던 걸로 안다"며 "중기전용 홈쇼핑 사업과 달리 이통사업은 명분이 약해 중기청의 반대가 노골적이었다"고 전했다. 불투명한 통신시장 앞날도 걸림돌로 작용했다. 적자를 면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400만~50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해야 하지만 격화 중인 통신업계의 경쟁구도를 놓고 볼 때 쉽지 않은 일인데다 인프라 구축에 2조~3조원을 추가로 투입할 경우 중앙회가 최대주주 지위를 잃지 않기 위해 3,000억원 이상을 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선장 없는 컨소시엄의 향배는=중앙회는 표면적으로는 직접 출자는 포기하는 대신 인력지원 등 컨소시엄의 측면 지원은 계속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중앙회에 이통사업 출자 의사를 밝힌 중소기업은 2,000여개에 출자금액 규모는 약 2,500억원이다. 이와 별도로 중기 컨소시엄의 대표격인 양승택 전 정보통신부 장관 쪽에서는 대기업 등 큰손 투자자 유치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컨소시엄의 구심점인 중앙회가 빠진다면 상황은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중앙회 관계자조차 "중앙회를 믿고 투자를 약속한 중기업체 일부는 중도 이탈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MI 앞날도 안갯속=유일한 제4이통 예비사업자인 한국모바일인터넷(KMI)도 상황이 녹록지 않다. KMI는 지난 26일 방송통신위원회에 세번째 통신사업자 신청서를 냈다. 대표가 방석현 전 정보통신정책연구원장으로 바뀌고 주주구성ㆍ사업계획서 등도 수정됐지만 업계에서는 큰 기대를 걸지 않는 눈치다. KMI는 이미 주주 구성이나 자금력ㆍ기술력 등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두 차례 고배를 마신 바 있다. 사업 승인을 받은 후도 문제다. 업계 관계자는 "3위인 LG유플러스가 대기업 계열사인데도 고전하고 있는데 4이통사가 얼마나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는 인구 수보다도 많은 5,100만명을 넘어 포화상태다. 시장의 구도도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대략 5대3대2씩을 차지하는 형태로 수년간 지속돼왔다. 때문에 어지간한 대기업이 손을 대지 않는 한 이 같은 구도를 깨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