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차세대 통신 외국기업들이 장악우려] 이동전화에 밀려 장비개발 ‘낮잠’
입력2003-07-17 00:00:00
수정
2003.07.17 00:00:00
오현환 기자
방송ㆍ통신 분야의 차세대 서비스가 올 하반기를 시작으로 2~3년내에 본격 확산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국내 장비업체들의 준비 부족으로 외국업체들이 국내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처럼 외국업체들의 국내 진출이 활발한 것은 한국의 통신 서비스가 가장 앞서고 있어 한국에서 세계 표준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고 그럴 경우 세계시장을 선점할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일부 외국업체들은 아직 검증되지 않을 기술을 한국시장에서 시험삼아 적용해서 성공할 경우 세계시장으로 진출하는 발판으로 삼으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어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통신장비업체들은 그동안 이동전화 시스템과 휴대폰 단말기사업에만 주력, 차세대 장비에 대해 소홀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사업 부문별 현황= 케이블시장의 디지털전환과 관련된 장비시장은 크게 제작장비, 송출시스템(헤드앤드), 카스, 요금징수 장비, 미들웨어(쌍방향 방송 솔루션), 셋톱박스 등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제작장비, 송출시스템, 카스, 요금징수 장비 등은 거의 외산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미들웨어 부문 역시 국내 기술력이 떨어져 외국업체들이 시장을 대거 장악하고 있다. 다만 시장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셋톱박스 부문의 경우 국내 기술력이 높아 국산이 선전을 하고 있다.
이동 중에 무선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인터넷 사업부문은 어레이콤 등 외국회사들이 시스템관련 원천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이 아직 없는 상황이다. 삼성전자와 전자통신연구소가 2005년을 목표로 개발을 추진중이지만 성공 가능성, 기술수준 등에 대해 장담할 수 없다. 원천기술을 토대로 한 기지국 장비를 개발 중인 곳도 현재로서는 어레이콤과 제휴한 LG전자 정도다.
전화망과 인터넷망을 통합하는 차세대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부문도 외국 장비회사들의 독무대다. 특히 기업단에 들어가는 IP교환기과 IP전화기의 경우 시스코, 루슨트테크놀러지의 지화사인 어바이어 등 외국기업들이 국내시장을 장악한 가운데 알카텔, 지멘스, 노텔 등이 가세해 치열한 주도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
이동중 안정적으로 방송서비스를 하는 디지털미디어방송 사업도 이르면 내년부터 개시될 것으로 예정이지만 아직 단말기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외국 장비업체들 국내 유입 봇물 = 케이블방송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헤드앤드 장비업체들의 국내 공략이 본격화하고 있다. 미국의 하모닉스가 국내 에이스텔을 통해 자사 제품을 공급한데 이어 텐드버그, 사이언티픽애틀랜타(SA), 모토로라 등이 지사 개설 또는 국내 유통업체와의 제휴를 서두르고 있다.
휴대인터넷 부문에서는 원천기술을 개발한 어레이콤, 플라리온, 브로드스톰, 나비니가 국내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국내 진출을 추진 중이다. 어레이콤이 기지국 장비는 LG전자를 통해 공급하는 것과 달리 플라리온은 자체에서 기지국 장비까지 공급을 추진중이며 브로드스톰의 경우 포스데이타가 장비 유통을 맡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NcGN 분야에서는 기업단 장비는 외국업체들의 시장이 됐고 통신업체용 장비의 경우 루슨트테크놀러지ㆍ알카텔ㆍ노텔 등이 적자속에서도 떠나지 않고 국내 시장을 노리고 있다.
◇이동전화 단말기 시스템에 주력 `소홀`= 삼성전자, LG전자, 큐리텔, 머큐리, 현대시스콤 등 국내 통신장비업체들은 현재 차세대 사업보다 수익이 나는 이동전화 쪽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과 유럽, 아시아에서 이동전화 시스템이 성장하는 단계에 있어 시스템 구축이나 단말기 판매 등 당장 열매를 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차세대 서비스가 속속 나올 예정이고 이에 뒤쳐질 경우 휴대폰 등 기존 시장에서도 밀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정부가 구체적인 정책로드맵을 제시하지 않아 업계가 기술을 개발하는데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통신업계 구조조정에 발목이 잡힌 정보통신부가 차세대 사업에 대한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차세대 서비스는 기존 서비스와 결합되는 게 불가피한 만큼 대응이 느릴 경우 국내시장은 물론 세계시장에서 까지 밀릴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오현환기자 hhoh@sed.co.kr>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