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가 나아지고 원화가치까지 강세를 보이면서 우리 국민의 해외소비가 사상 최대 수준으로 올라섰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거주자의 국외소비지출(명목 GDP 기준)은 20조3,180억원으로 전년 17억6,080억원보다 15.4% 늘었다. 이는 한은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1970년 이후 최대치다. 거주자의 국외소비지출은 2004년 이후 4년 연속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에는 2.2%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에는 도리어 5.8% 줄어들었다. 국내 거주자의 해외소비가 이렇게 늘어난 것과 달리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금액을 의미하는 비거주자 국내 소비지출은 반대였다. 비거주자 국내 소비지출은 2002년 -10.7%를 기록한 후 5년 연속 감소했으나 2007년 1.5%의 소폭 증가세로 돌아선 뒤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81.0%, 2009년 20.5%로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해 비거주자 국내 소비지출은 10억9,330억원으로 전년보다 4.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같은 현상에는 환율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원ㆍ달러 환율은 2008년 1,101원88전에서 2009년 1,276원41전으로 상승했다가 지난해 1,156원86전으로 떨어졌다. 환율이 올 들어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해외소비는 지난해보다 더욱 증가하는 반면 외국인의 국내 소비는 줄어드는 패턴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