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조경제의 본질은 융합과 혁신으로 요약된다.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전에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데 우리 경제의 나아갈 길이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권오준 회장 취임 이후 세계 최고의 기술을 바탕으로 '위대한 포스코(POSCO the Great)' 비전 달성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연구개발(R&D) 투자다. 포스코는 지난 1989년 매출액 대비 0.93%에 불과했던 R&D 투자비를 지난해 세계 철강사 중 최고 수준인 1.83%까지 끌어 올렸다.
글로벌 철강 경기 악화로 인해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는 포스코가 당장 실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R&D 투자를 강화하는 것은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이자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지기 위해서다. 쇳물 생산을 늘리거나 원료 자급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독보적인 기술 우위를 유지해야 근원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세계적 철강전문 분석기관인 WSD(World Steel Dynamics)가 세계 36개 철강사를 대상으로 23개 항목을 평가한 결과 포스코는 올해도 최고 점수를 얻어 지난 2009년 이래 6년 연속 정상을 차지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기술혁신·인적자원·원가경쟁력 등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권 회장 취임 이후 포스코는 새로운 먹거리 창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권 회장은 미래 신성장 동력 중 하나로 원천소재를 꼽고 관련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것을 지시했다. 특히 포스코가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리튬 추출 기술이 눈에 띈다. 2차전지의 주연료인 리튬은 휴대전화와 노트북 전기자동차 등에 활용되는데, 기존 자연 증발식 리튬추출법은 최대 18개월의 시간이 소요돼 경제성이 낮았다. 포스코는 화학반응을 이용해 최단 8시간 내에 고순도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리튬 회수율 역시 기존 20%에서 80%로 끌어올려 사업성을 높였다.
현재 포스코는 리튬 추출을 통한 세계 시장 진출을 앞두고 남미에 대규모 실증플랜트를 구축하고 있다. 지난 8월 포스코플랜텍 포항공장에서는 대용량 실증플랜트 설비 이송을 기념하는 행사가 개최됐다. 이 설비는 아르헨티나 북서부 후후이주의 카우차리 염호(鹽湖)에 도착해 연 200톤 규모의 탄산리튬 대용량 실증플랜트로 준공될 예정이다. 이 설비가 오는 12월 말 정상 가동되면 리튬 직접 추출기술의 최종단계 검증을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리튬시장은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우리나라는 세계 1위의 2차전지 생산국이지만 핵심소재인 리튬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수입 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현재 리튬자원은 칠레·아르헨티나·볼리비아 등 남미에 편중돼 있으며 자원보유국의 염수 개발 제한 정책과 기술적 한계로 인해 신규 업체의 시장 진입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리튬시장의 진입 장벽을 감안하면 세계 최초로 대용량 생산에 적용되는 포스코 리튬추출 기술은 기술력의 한계로 사업 진전에 어려움을 겪는 여러 투자사의 이목을 끌 것으로 보인다. 권 회장은 "리튬사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세계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수 차례 내비친 바 있다. 포스코는 현재 리튬 추출 기술과 관련해 국내 특허 44건, 해외 특허 76건을 출원한 상태다.
이밖에 포스코의 파이넥스(FINEX) 공법 역시 대표적인 혁신기술로 꼽힌다. 파이넥스는 기존의 쇳물 생산방법인 용광로 방식을 대체한 기술로 지난 2007년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했다. 이 공법은 값싸고 풍부한 미분(微粉) 광석을 원료로 사용하면서도 대기오염물질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어 친환경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포스코는 올해 포항제철소에 연간생산 200만톤 규모의 3파이넥스를 본격 가동하면서 연간 350만톤 생산 체제를 갖추게 됐다. 포스코 관계자는 "세계 주요 철강사들도 파이넥스와 유사한 공법을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 상업생산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공유가치 창출로 '희망의 빛' 밝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