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이 LED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조명을 세계 최초로 개발,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LG화학은 와트당 100lm(루멘)의 광효율과 4만 시간에 달하는 긴 수명을 갖춘 OLED조명 패널을 11월 출시한다고 11일 밝혔다.
LG화학의 이번 제품은 세계 주요 조명 업체의 OLED조명 패널 광효율이 와트당 60lm에 머무는 것과 비교할 때 기술력에서 한 차원 앞서 나간 것이다. 와트당 100lm 광효율에 수명이 2만 시간인 형광등은 물론 와트당 100lm 이상의 광효율에 5만 시간의 수명을 지닌 LED조명과도 경쟁해볼 만한 수준이라는 평가다.
LED와 형광등, 백열등은 광원의 형태가 점, 선, 원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OLED는 면 형태로 이뤄져 눈부심과 발열이 없는 것이 장점이다. 조명으로 등기구 제작시 방열판, 전등갓 등 부가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또 두께가 LED의 10분의 1, 무게는 5분의 1에 불과해 설치가 쉽고 적용 가능 영역이 넓은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LG화학은 OLED조명의 대중화를 위해 전원만 연결하면 바로 등기구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듈형 제품인 ‘OLED 조명엔진’ 개발을 완료, 추후 양산을 거쳐 시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LG화학은 OLED조명의 가격을 LED와 유사한 수준으로 맞춰 세계 양대 조명 시장인 북미와 유럽 등을 집중 공략할 방침이다. LG화학은 현재까지 미국 최대 조명회사인 어큐이티를 포함해 50여개의 조명 업체를 고객사로 확보한 데 이어 현재 유럽, 일본 등의 자동차 업체들과 2017년 양산을 목표로 OLED조명 패널을 적용한 자동차 후미등 개발을 진행하는 등 전체 조명 시장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용 조명 시장도 적극적으로 두드리고 있다. 박영기 LG화학 정보전자소재 사업본부장은 “OLED조명은 빛의 품질, 설치 용이성 등 기존 조명과 차별화돼 시장 잠재력이 크다”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양산 투자를 통해 시장선도사업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장조사업체인 유비산업리서치에 따르면 OLED조명 패널 시장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개화해 내후년 약 5,500억원, 2020년엔 약 4조8,000억원 규모로 확대되는 등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SEN TV 보도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