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동계 전력수급 및 에너지 절약대책'을 16일 발표했다.
정부는 전력 피크시간대 할증요금을 크게 높이는 선택형 최대피크요금제를 내년 1월부터 도입한다. 이는 평상시 요금을 10%가량 할인해주는 대신 피크일ㆍ피크시간대 3~5배의 할증요금을 부과하는 새로운 요금제다. 기업ㆍ상가를 대상으로 다음달까지 고객을 모집한 뒤 내년 1월부터 바로 시행한다.
정부는 또 삼성전자ㆍ현대자동차 등 전력사용량이 많은 대기업 공장에 최대 10%까지 전력 의무감축 목표를 부여했다. 각 공장의 부하변동률에 따라 차별화된 감축목표를 설정하되 이를 어길 경우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부는 예비력이 200만kW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계'단계에 돌입하면 공공기관 강제단전도 실시하기로 했다. 위조부품 파동으로 멈춰선 영광 5ㆍ6호기 원전은 연내 재가동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건물은 18~20도의 실내온도 준수를 의무화하고 피크시간대 지하철 운행횟수도 줄이기로 했다.
정부는 올 겨울 이 같은 수요관리를 실시하지 않을 경우 내년 1월 예비력이 127만kW까지 하락해 순환정전이 초읽기에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이날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올 겨울이 전력수급에 가장 힘든 시기"라며 "정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지난해와 같은 정전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