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은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총재 취임 이후 처음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3∼4일)에서 ‘2년 내 물가 2% 상승’목표를 가능한 한 조기에 실현하기 위해 이같은‘양적·질적 금융완화’조치를 결정했다.
일본은행은 금융완화의 지표를 익일물 금리에서 시중 화폐공급 총량(monetary base)으로 변경하는 한편 작년 말 기준 138조엔이었던 화폐공급 총량을 내년 말 약 2배인 270조엔(약 3,210조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장기국채 매입량도 내년 말까지 현재의 2배 이상인 190조엔(약 2,259조원) 규모로 확대키로 했으며, 주가지수에 연동되는 상장지수펀드(ETF)의 보유 잔고는 매년 1조 엔(약 12조원)씩 늘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장기국채 보유액을 화폐 발행 총액 이내로 유지한다는 내용의 ‘일본은행권 룰(규칙)’의 적용을 일시 정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전임 시라카와 마사아키(白川方明) 총재 시절인 2010년 도입된 ‘자산매입기금’의 활용과 1960년대부터 계속된 통상적인 국채 매입(오퍼레이션, operation) 등 두 갈래로 이뤄져 온 금융완화의 수단을 일원화하는 차원에서 자산매입기금을 통한 금융완화 방식은 폐지하기로 했다.
작년 총선 때부터 아베 총리는 자신의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의 한 축으로 과감한 금융완화를 단행하겠다고 밝혔고, 그에 따라 적극적인 금융완화론자인 구로다를 일본은행 총재에 임명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