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최근 원·엔 환율이 100엔당 1,020원대까지 급락하면서 일본 수출기업의 부활에 대한 견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록적인 경상수지 흑자로 인한 부담으로 정부가 수출기업 입장을 두둔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국내 주요 경제연구소 대표들은 엔화 대비 가파른 원화절상이 계속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내다봤다.
그래도 부품소재 등 일본과 경쟁하는 품목이나 중소기업은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철저한 사전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장은 "올해 같은 경우 미국과 일본의 금융완화 정책으로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지만 어마어마한 경상수지 흑자도 수급에 영향을 많이 미쳤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내년에 미국이 양적완화 정책을 거둬들이고 미국 경기가 돌아서면 원화강세가 마냥 갈 수는 없을 것"이라며 "다만 내년 흑자규모가 480억달러 정도 예상돼 압박요인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윤창현 금융연구원장은 "옛날처럼 정부가 너무 심하게 개입해서 방향을 뒤집을 수는 없다. 개입해도 스무딩 오퍼레이션 수준"이라며 "엔저에 대비할 필요가 있기는 하다"고 지적했다.
최병일 한국경제연구원장은 "우리 기업이 엔고일 때 혜택을 받은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우리가 더 이상 환율에 일희일비하는 시스템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대기업은 해외공급망 확대가 많이 진전돼서 아베노믹스로 인한 피해가 크지 않더라도 부품소재 분야나 해외공급망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상당히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일본이 디플레이션 문제 해결을 위해 양적완화를 계속할 것으로 보이나 환율이 계속 (엔화약세로) 갈 수 있을지, 조정될지는 더 지켜볼 문제"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일본이 내년에 부가가치세를 올린다는데 일본의 취약한 재정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일본이 가장 어려워하는 구조개혁 문제는 진전이 있을지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