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의 연체율이 높아지는 것은 크게 내리막 경기와 도덕적 해이가 원인이다.
당장 경기가 너무 좋지 않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12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0%로 2009년 이후 최저치다. 올해도 전망은 밝지 않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경제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25일 밝힌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7%에 불과하다. 낮은 경제성장률에 대출을 갚지 못하는 개인과 중소기업은 갈수록 늘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금융감독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부동산을 포함한 국내 경기가 나빠지면서 대출연체가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상호금융권 연체 심각=좋지 않는 경기는 서민과 회색지대에 있는 중소기업에 직격탄이다. 은행을 이용하기 어려운 이들이 거래하는 상호금융권의 연체 추이가 이를 잘 보여준다. 신협의 경우 2011년 말 6.01%였던 연체율이 지난해 말에는 6.38%까지 늘었다. 문제는 총자산도 49조6,000억원에서 55조3,000억원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대출이 증가하면서 연체율이 함께 늘어나는 것은 좋지 않은 신호다.
농협도 자산이 2011년 말 257조6,000억원에서 지난해에는 272조8,000억원까지 불어난 상황에서 연체율 역시 0.3%포인트 증가했다. 자산을 줄이는 곳에서는 분모가 작아지기 때문에 연체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상호금융권의 상황은 몸집과 연체율이 같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크다.
일부 저축은행들도 300만원 이하 소액대출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급등하고 있다. HK저축은행은 2011년 말 11.43%였던 소액신용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말에는 14.54%까지 올랐다. HK의 대출잔액도 2,327억원에서 2,413억원으로 커졌다. 현대스위스 역시 같은 기간 소액대출 연체율이 11.93%에서 16.01%까지 급증했다.
대부업체의 연체율 또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침체 등으로 최근에는 대부업도 연체율이 조금씩 올라가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대표적 서민금융지원 상품인 '바꿔드림론'도 연체율이 상승세다. 바꿔드림론의 2월 말 현재 연체율은 9.7%로 10%에 육박하고 있다. 2011년 말 연체율은 5.9% 수준이었다.
◇소호대출 부실 경고음…정부 압박에 중기 부실도 우려 목소리=기업대출 부실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1.18%였던 기업대출 연체율은 올 1월 말 들어 1.34%까지 올랐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대출이 문제다. 같은 기간 1.27%였던 중기대출 연체율은 1월 말 1.5%까지 상승했다. 반면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오히려 줄었다.
시중은행의 한 고위관계자는 "지난해에 중소기업대출을 많이 늘렸던 은행들은 올해 들어 크게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최근 들어서는 소호대출 부실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기대출 부실 문제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근혜 정부 들어 창조경제를 앞세워 중기ㆍ벤처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크게 늘리도록 독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중소기업 지원이 새 정부의 기조이기 때문에 한동안은 중기대출을 계속 늘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지금 늘리는 중기대출은 상당 부분 부실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세계 경기가 급속하게 좋아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어려움도 일정 부분 계속될 것이고 이에 따라 금융권 부실도 같이 확대될 것"이라며 "새로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부채탕감을 해줄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국민들에게 심어주고 있는 게 가계대출 부실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