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출범으로 새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스마트융합ㆍ에너지ㆍ모바일게임 등과 관련된 기업들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과거 정부 때는 어땠을까.
전 정부인 이명박 정부의 정책 화두는'녹색성장'이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이를 위해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사업을 지정했으며, 이 덕분에 당시 태양광ㆍ풍력 등 친환경 관련주에 대한 투자가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이명박 전 대통령은 정권 초반 "2020년까지 전기차 100만대를 보급하고 20조원 시장을 만들겠다"는 발언으로 투자가들을 전기차 테마주로 끌어들였다.
또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한반도 대운하'건설로 토목 산업 관련주가 인기를 끌었으며, 해외 자원 개발에 대한 관심으로 자원 관련주들의 주가가 치솟기도 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달성하기 위해 미래형 자동차ㆍ차세대 반도체ㆍ바이오신약 개발 등 10대 신성장동력 육성책을 내놓았다. 또 정보기술(IT) 839 정책 추진으로 관련 종목들이 주목을 받았으며, '수도 이전'계획의 영향으로 건설업체에 대한 투자가들의 관심이 커지기도 했다.
1998년 당시 외환위기라는 혼란 속에 정권을 잡은 김대중 전 대통령은 위기 극복과 경기 부양을 위해 IT벤처기업 육성에 사활을 걸었다. 또 역사상 최초로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등 남북 화해의 물꼬를 틀면서 '대북 지원'관련주도 주목을 받았다.
이 같은 과거의 역사적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정책 테마주들이 무조건적인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이들 테마주들은 대부분 한 때 반짝했으나 그 끝은 좋지 못했다.
실제 이명박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전기차 시장은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가격 대비 성능이 크게 떨어져 이를 사려는 사람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관련 테마주로 각광을 받았던 AD모터스ㆍCT&Tㆍ지앤디윈텍 등 전기차 관련 업체들도 모두 상장 폐지됐다. 특히 이 중 CT&T의 경우 지난 2009년 이명박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직접 시승 행사를 가져 투자가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업체다. 당시 투자가들은 이를 두고 정부가 시장을 속였다며 억울한 반응을 내놓기도 했다.
또 이 전 대통령 시절에는 대운하 사업 포기로 일부 관련 업체들의 주가가 날개 없는 추락을 했다. 대표적인 대운하 수혜주로 꼽혔던 특수건설은 정권 초기인 2008년 12월 2만 5,467원까지 올랐으나 2011년 12월에는 2,355원으로 떨어져 주가가 10분의 1 수준으로 폭락했다. 울트라건설, 이화공영 등 관련 종목들도 비슷한 운명을 따랐다.
다른 정부의 정치 테마주들도 사정은 비슷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 바이오 산업은 2005년 말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논문 조작 사건으로 급격하게 무너졌다. 대표적 수혜주였던 메디포스트는 2005초 8만원선에 육박했다가 2007년 말에는 2만원대까지 떨어졌다. 이후 메디포스트는 3년 반 가까이 지난 2011년 7월에야 다시 8만원 선을 회복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의 IT 버블 붕괴는 더 극적이다. 당시 테헤란로의 IT 관련 기업들은 불과 몇 달 사이에 주가가 수십 배씩 뛰었으나 인터넷 거품이 꺼지면서 도산하는 업체가 속출했다. 당시 대표적인 IT 기업이었던 새롬기술은 한 때 주가가 액면가 대비 600배로 뛰고, 주가수익비율(PER)이 1,400배에 달했으나 닷컴버블이 꺼지면서 사라졌다.
특히 당시 코스닥 시장의 활황을 이끌었던 IT 기업들의 몰락은 지금까지도 코스닥 시장에 트라우마로 남아 투자가들이 코스닥을 외면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이처럼 과거 정부 때의 테마주 투자 결과는 썩 좋지 못했다. 이에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단순히 정책에만 의지한 테마주 투자는 신중할 것을 요구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공통적으로 "정부 정책만으로 부실한 기업이 잘나갈 수는 없다"면서 "정부 정책뿐만 아니라 기업의 재무건전성과 성장성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례로 이명박 정부의 전기차 활성화 계획에 대해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애초에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시장의 투가자들은 정부의 장미빛 청사진만을 보고 묻지마 투자를 감행했고 결국 큰 손해를 입었다. 투자가들 입장에서도 정치 테마주의 몰락에 대해 정부 탓만 할 게 아니라 스스로 신중하게 투자를 할 필요성이 있다.
인물 아닌 정책에 집중… 장기 투자자 많아 미국 정권 교체기 테마주는
|